일본의 산업 공동화가 가시화하고 있다.
대지진ㆍ쓰나미 여파로 외국 기업의 대일(對日) 투자는 얼어붙고, 일본 기업들은 해외 M&A를 통해 해외로 생산 거점을 옮겨가면서 산업 공동화가 두드러지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일본 M&A 자문업체인 레코프에 따르면 지난 3~5월 해외 기업의 일본 기업 M&A 건수는 전년 동기에 비해 20% 감소했다.
정부의 대지진 피해복구 지연과 후쿠시마 제1 원전 사고, 정국 혼란 등 악재가 겹치면서 불확실성이 고조된 영향이라고 레코프는 분석했다.
이는 지난 2월까지 해외 기업들이 보여줬던 왕성한 식욕과 대조되는 양상이다.
해외 기업에 의한 일본 기업 M&A는 지난 2월까지만 해도 전년 수준을 웃돌 정도로 활발했다. 하지만 대지진이 발생한 3월 이후 대일 M&A는 감소세로 전환, 3월은 20% 감소한데 이어 4월에는 40% 급감했다.
5월은 전년 동기에 비해 건수로는 6.7% 증가해 회복 기조에 오르는 모습이지만 이것이 정착될지는 미지수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한 펀드업계 관계자는 “대지진 발생 전에는 외국 기업들이 제조업뿐아니라 식품업과 금융업, 숙박업 등 다방면에 인수 의욕을 나타냈지만 대지진 이후에는 해외에서의 일본 기업 인수 문의가 거의 끊겼다”고 말했다.
다른 펀드업계 관계자는 “원전 사고로 인한 피해 입소문이 M&A 시장에도 먹구름을 드리웠다”고 거들었다.
문제는 일본 기업들도 일본 시장을 기피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지진과 원전 사태에다 엔화 강세까지 기업들에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해외로 생산 거점을 분산시키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는 것이다.
3~5월 일본 기업에 의한 해외 기업 M&A 건수는 12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 증가했다. 다케다약품공업의 스위스 나이코메드 인수, 도시바의 스위스 스마트그리드 관련업체 랜디스+기어 인수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레코프는 저금리와 엔화 강세, 전력난까지 일본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부추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는 일본 산업의 공동화 우려를 키우고 있어 정부 차원에서 규제 완화와 세제 우대 등 외자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