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 Mercosur)은 정식 회원국인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 4개국만 합쳐도 인구 2억4000만명에 경제규모 2조5000억달러에 달하는 거대 시장이다.
정식회원국 가입절차를 밟고 있는 베네수엘라를 비롯해 칠레와 페루 등 5개 준회원국도 정식가입을 추진하고 있어 메르코수르가 남미는 물론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거대 경제블록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8회에 걸쳐 메르코수르 경제를 분석하고 전망한다)
<글 싣는 순서>
① 남미 경제 맹주 브라질, 삼바 리더십으로 뜬다
② 탱고의 나라 아르헨티나, 경제 부활 기지개
③ 베네수엘라, 석유로 흥하고 차베스식 사회주의로 망한다
④ 개방정책 통해 신흥 경제강국으로 부상하는 콜롬비아
⑤ 지진 이겨낸 칠레 경제의 힘
⑥ 페루, 남미 경제성장 이끈다
⑦ 파라과이·우루과이, 경제개혁으로 중진국 도약
⑧ 볼리비아·에콰도르, 사회주의 개혁 성공할까?
‘자원부국’ 페루가 남미 경제를 이끄는 선두주자로 도약하고 있다.
페루는 지난해 8.8%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글로벌 상품가격 강세 혜택과 내수 확대가 경제성장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다.
페루의 지난해 자동차 판매는 전년 대비 54% 증가하는 등 페루 소비지출은 전년에 비해 10% 늘었다.
페루 중앙은행은 올해 경제 성장률이 7%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보고서에서 페루는 올해 7.5%, 내년에 5.8%의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 3월 페루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을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패트릭 에스터루엘라스 무디스 애널리스트는 “우리는 향후 1~2년 안에 페루의 국가 신용등급을 올릴 것”이라며 “페루는 재정이 개선되고 있고 향후 경제전망도 양호하다”고 설명했다.
고성장과 풍부한 자원 덕에 민간투자도 꾸준히 늘고 있다.
페루 중앙은행은 올해 민간투자가 전년 대비 15% 증가하고 민간투자 규모가 2년 안에 300억달러(약 32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페루 수출의 60% 비중을 차지하는 광업은 외국인 투자를 끌어들이는 원동력 역할을 하고 있다.
페루는 매장량 기준으로 구리가 세계 2위, 아연 3위, 주석 3위를 각각 기록할 정도로 광물자원이 풍부하다.
페루는 세계 은 공급의 15%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 은생산국이며 각종 첨단제품에 쓰이는 비스무트와 몰리브덴, 셀레늄 등 희귀금속 자원도 다량 매장돼 있다.
중국알루미늄공사(치날코)가 현재 22억달러를 들여 구리광산을 개발하는 등 페루내 광산 개발 프로젝트에 향후 10년간 약 420억달러의 해외 자금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페루의 국토 중 10% 정도만이 자원탐사가 완료됐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페루의 광물과 에너지 자원은 개발할 여지가 무궁무진하다고 평가했다.
페루는 미국과 중국 등 14개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는 등 개방적인 통상정책을 펼치고 있다.
경제의 빠른 발전에 빈곤층 비율도 지난 2004년의 전체 인구 절반 수준에서 지난해 30% 수준으로 떨어졌다.
페루의 최고 지도자들이 좌파와 우파를 막론하고 일관적인 시장 친화정책을 펼치면서 지속적이며 빠른 경제발전이 가능했다는 평가다.
지난 1990년대 정권을 장악한 알베르토 후지모리 전 페루 대통령은 독재와 부정부패로 쫓겨났으나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을 잡고 좌익 게릴라를 완전 진압해 사회를 안정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알란 가르시아 현 페루 대통령은 지난 1980년대 후반 급진적인 좌파정책을 펼쳐 국가 경제를 파탄에 몰아넣었으나 지난 2006년 대선에 승리해 20년 만에 권좌에 복귀한 이후에는 오히려 민영화와 공무원 임금삭감 등 신자유주의 정책을 펼쳐 경제를 살렸다.
올해 대선 결선투표에 오른 두 명의 대통령 후보자들이 전임자의 뒤를 이어 현재의 고성장을 지속시킬 수 있는지 여부가 페루 경제 최대 관심사다.
지난달 대선 예비투표에서 1위를 차지한 좌파의 오얀타 우말라 후보에 대해 일각에서는 광산과 유전의 국유화를 추진하는 등 베네수엘라의 우고 차베스 대통령 같은 인기주의적인 좌파 정책을 펼칠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중도 우파로 2위에 오른 게이코 후지모리는 시장친화적인 정책을 지속하겠다고 밝히고 있으나 정치권에서는 독재와 부정부패로 악명 높은 아버지인 후지모리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커질까 우려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차기 대선 승리자가 전임자들의 성공한 경제정책을 유지하는 것이 고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