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어린이와 청소년이 느끼는 주관적 행복지수가 OECD 국가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어린이ㆍ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65.98점으로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스페인(113.6점)보다 47.6점 낮고, OECD 평균(100점)보다도 34점이나 모자란다. 또 한국은 2009년 64.3점, 지난해 65.1점을 기록하는 등 3년 연속 OECD 국가중 주관적 행복지수에서 최하위에 머물렀다.
주관적 행복지수는 '주관적 건강'과 '학교생활 만족도' '삶의 만족도' '소속감' '주변 상황 적응' ' 외로움' 등 6가지 영역에 대한 응답률을 수치화한 것이다.
반면, 한국의 어린이ㆍ청소년은 교육성취도와 생활방식을 측정하는 '교육' '행동과 생활양식' 항목에서는 최상위를 기록하는 등 모든 분야에서 중상위권을 유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유일하게 주관적 행복지수에서만 꼴찌다.
'교육'에서는 127.8점, '행동과 생활양식'에서는 129.3점으로 OECD국가 중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고 '물질적 행복'은 110.7점으로 4위에 올랐다. '보건과 안전'은 102.6점으로 13위, '가족과 친구 관계'는 96.1점으로 15위를 했다. 아시아권인 일본과 중국과 비교해서도 한국 청소년이 느끼는 행복도는 크게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염유식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한국 청소년들은 학교와 가족, 친구와 분열된 삶을 살면서 행복지수가 낮은 것"이라며 "학생들의 분절된 삶의 영역이 통합되고 부모는 자녀의 친구와 학교ㆍ학원 교사의 이름을 알고 지낼 때 행복 지수는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