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공습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선 프랑스와 이를 우려하는 독일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유럽 재정위기에 관한 입장차를 좁히기 위해 수개월간 노력한 프랑스와 독일이 일본 대지진과 리비아 군사개입이라는 양대 변수로 다시 균열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알랭 쥐페 프랑스 외무장관은 지난 21일 브뤼셀에서 열린 회의에서 귀도 베스터벨레 독일 외무장관과 설전을 벌인 뒤 "나는 내가 생각하는 것을 말하고 그는 그가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고 비난했다.
프랑스와 독일은 리비아에 대한 군사개입과 관련해 전혀 다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유럽연합(EU) 회원국과 협의 없이 리비아 반정부 세력인 국가위원회를 인정하면서 독일 정부를 자극하기 시작했다.
독일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이하 안보리) 결의 당시 중국, 러시아 등과 함께 표결에 기권했으며 리비아에 대한 군사개입도 거부했다.
민주화 시위가 격화되고 있는 예멘에서는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이 즉각 사퇴를 거부함에 따라 내전 위기로 치닫고 있다.
수도 사나에서는 22일 살레 대통령에 대한 반정부 시위가 재점화하면서 시민 수만명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대통령의 즉각 사임을 촉구했다.
대통령궁과 국방부 등 주요 시설에는 살레 대통령의 아들이 이끄는 군부대와 탱크가 진주하고 있고, 사나대학 인근 광장에는 시위대 보호를 위해 반군의 탱크가 배치됐다.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살레 대통령은 야권과의 타협은 물론 사우디 아라비아 측에 로비를 벌이면서 올해까지는 대통령직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야권은 즉각 퇴진만이 반정부 시위 사태의 해결책이라는 주장을 고수하고 있다.
정부군과 반군이 첨예하게 대치하는 상황에서 예멘 정부가 '이집트식' 해법을 수용할 것인지, 또는 '리비아식' 사태를 촉발할 것인지가 주목된다.
북아프리카·중동 지역을 휩쓸고 있는 민주화 열기가 조만간 사하라 사막 이남으로 퍼질 것이라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윌리엄 헤이그 영국 외무장관은 이날 "리비아의 평화적 발전을 방해하는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원수처럼 더 나은 미래를 가로막는 지도자들이 인사들이 있다"면서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가 확산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가 전했다.
헤이그 장관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리비아 군사개입이 국제사회가 자국민의 인권을 유린하는 정권을 심각하게 여기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언급, 카다피를 겨냥한 서방 연합군의 군사작전이 다른 지역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일본 대지진 사태와 관련 독일과 프랑스는 서로의 대응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독일은 핵 원자로 일부를 잠정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프랑스 정부에 직간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했다.
독일의 원자로 폐쇄 결정은 지방 선거를 앞두고 있는 프랑스의 환경론자들에게 힘을 실어주고 유가급등에 대한 우려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