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의 아시아 시장 잡기 경쟁이 치열하지만 공략방법은 3국이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IT기술을 필두로한 개발경험을 전수하는 데 집중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자원확보, 일본은 대규모 자금을 활용한 인프라 건설에 집중하고 있다.
코트라는 10일 '한중일 3국의 대아시아 경제협력 현황 및 성공사례' 보고서를 내고 "한국은 올해 ODA(공적개발원조)와 DAC(개발원조위원회) 가입을 계기로 아시아 국가에 대한 ODA확대, FTA 추진, 정상외교 활성화를 핵심으로 하는 신아시아 외교구상을 전략으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ODA나 유무상 원조 제공 규모에서 일본, 중국과 경합이 쉽지 않다는 현실을 감안 한국의 경제발전경험을 전수 방법으로 아시아 국가와의 경제협력에 집중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보고서는 "아시아 국가들은 빈곤국에서 10대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한국의 경험을 벤치마킹하고 싶어 한다"며 "2004년부터 2009년까지 15개국에 134개의 과제에 대한 개발경험을 전수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일본의 경우 아세안 국가 및 인도 등에 인프라 구축을 위한 프로젝트에 대규모 ODA 자금을 집중 투입하는 방법으로 경제협력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일본은 해당국 투자환경을 개선시켜 일본기업의 진출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이점도 동시에 겨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일-메콩 경제산업협력 이니셔티브'를 발표한후 메콩강 유역 개발을 ODA 중점 프로젝트로 설정, 향후 3년간 5000억엔 이상을 지원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입장에서도 일본은 최대 원조제공국이며 '델리-뭄바이 산업회랑철도' 건설 지원에만 60억달러 가량을 ODA로 지원할 계획이다.
중국 또한 아시아 시장 및 자원 공급처 확보를 위해 아시아 국가와의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ODA, DAC 가입국이 아님에도 아시아 국가에 유무상 원조를 대폭 확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풍부한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금융위기 때는 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과 통화스와프 협정을 체결했고 동남아 국가와는 FTA 추진 및 저우추취(出走去, 해외투자)를 통해 내수시장과 자원확보 정책을 추진중이다.
3국의 경제협력 형태에 약간의 차이가 나지만 FTA 체결을 통한 경제협력 강화에는 3국 모두 적극적이다. 한국과 중국, 일본이 모두 아세안(ASEAN)과 FTA를 체결, 발효 중이며 일본은 아세안 개별국가들과 양자 FTA도 체결했다.
하지만 아시아의 2대 신흥경제대국으로 떠오르는 인도와는 우리나라만이 CEPA를 체결함으로써 일본, 중국보다 한발 앞서 나가고 있다.
오성근 코트라 통상정보본부장은 "아시아 시대를 맞아 아시아 국가와의 경제협력 확대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라며 "ODA를 통한 다양한 경제협력은 우리 기업의 현지 내수시장 개척과 투자 진출은 물론 국가 이미지 제고에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