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석유화학이 KP케미칼과의 합병을 통해 오는 2018년 매출 40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에 적신호가 켜졌다. 합병을 위한 주주총회가 오는 23일 예정돼 있으나 자산운용사들이 잇따라 합병 반대의사를 밝히고 있기 때문인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호남석화는 KP케미칼과의 합병을 공식 선언하고 오는 2018년 매출 40조원 달성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기초소재(Basic Material) 분야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혁신소재(Advanced Material)와 녹색소재(Green Material)을 신성장동력으로 삼는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최근 호남석화와 KP케미칼의 합병을 위한 주주총회를 앞두고 양사의 지분을 갖고 있는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과 신영자산운용, KTB자산운용 등 자산운용사들이 속속 합병 반대의사를 내놓으면서 첫 출발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호남석화 지분 2.03%(64만6557주)를 보유하고 있는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과 신영자산운용(호남석화 지분 0.61%, 19만5043주) 등 반대의사를 표시한 운용사들의 지분율은 호남석화 전체 지분의 4.126%, 130만여주에 달한다. 이들 운용사들이 호남석유 주식매수청구(합병에 반대하는 주주가 회사에 주식을 되사 줄 것을 요청하는 권리) 가격 9만3883원에 권리를 행사할 경우 호남석화측은 1230억원을 들여 이 주식들을 사줘야 한다.
KP케미칼 역시 사정은 비슷하다.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과 신영자산운용 등도 KP케미칼 주총에서 합병반대 의사를 밝힐 예정인데 이들이 보유한 KP케미칼 지분은 1.79%, 177만여주에 달한다. 매수청구 가격 8264원을 기준으로 146억원 규모다.
자산운용사들이 이같이 반대의결권을 행사하는 것은 주식매수청구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주가가 매수가격 아래로 하락할 경우 이 권리를 행사하면 시장가격 보다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어 자산운용사에게 유리하다. 현재 호남석화와 KP케미칼의 현 주가는 적용매수가격에 한참 못미치는 8만9100원, 7320원이다.
문제는 호남석화와 KP케미칼 합병 조건에 따르면 합병에 반대하는 두 회사 주주들의 매수청구 규모가 2000억원을 넘을 경우 합병이 취소된다.
업계 관계자는 "호남석화와 KP케미칼의 주가가 매수청구가보다 낮은 데다가 합병 효과가 당장 크지 않다는 점이 주주들의 반대 이유"라고 분석하고 "지금처럼 주가가 매수청구가보다 계속 낮게 형성된다면 앞으로도 합병 반대의사 표시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주가가 유지된다면 반대표가 늘어나 결국 합병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호남석화 관계자는 "회사의 합병의지가 강력하고 향후 비전에 대해서도 밝힌 바 있다"면서 "자사주 매입을 포함해 여러가지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주식시장에서는 호남석화가 주가관리를 위해 조만간 최소 2000억원 이상 자사주 매입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반면 합병 가능성이 높다며 지금부터는 합병이 가져올 긍정적 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지환 교보증권 연구원은 "중동 공세와 정유, 중동 프로젝트 신규사업 진출을 위해 양사는 합병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며 "또 폴리에스터 체인 내에서 이익 창출의 안정성을 확보와 재무구조 개선을 통해 정유업 등 신규 사업 진출의 투자 재원 마련도 용이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호남석화는 이번 합병을 계기로 2018년 매출 40조원 달성을 위한 세부 작업으로 여수에 연산 13만t 규모의 부타디엔 공장 신설에 착수했으며, NCC 증설도 검토하고 있다. 또 에틸렌 기준 연산 75만t 규모의 여수 NCC를 100만t으로 확대하는 방안과 연산 100만t 규모의 대산 NCC를 120만t으로 늘리는 방안을 놓고 고심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외에 해외 프로젝트 강화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KP케미칼은 파키스탄 PTA업체를 인수했으며 중국 통쿤사와 연산 80만t 규모의 PTA합작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호남석화의 카타르 프로젝트도 연내 계약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고부가 화학 아이템도 강화 대상이며 녹색소재를 또 다른 신성장동력으로 키우고 있다. 바이오폴리머, 멤브레인 등 수처리 사업, 신재생 에너지 등도 적극 육성하겠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