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우크라, 러시아에 협상 타진…우크라 외무 “대화할 의향 있어”

입력 2024-07-24 17: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젤렌스키도 ‘제2차 평화회의’ 러 초청…협상 의향 암시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 장관이 9일 워싱턴D.C.에서 회담을 하고 있다. 워싱턴D.C./AP연합뉴스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 장관이 9일 워싱턴D.C.에서 회담을 하고 있다. 워싱턴D.C./AP연합뉴스
중국을 방문한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이 전쟁 중인 러시아와 협상 의사를 피력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중국 외교부는 24일 홈페이지에서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자 외교부장이 중국 광저우에서 쿨레바 외무장관과 회담했다”며 이러한 소식을 전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최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협상할 의향이 있다는 신호를 다양한 수준으로 보냈다. 쿨레바 장관은 “우크라이나 측은 러시아와 대화와 협상에 참여할 의향이 있고 준비가 돼 있다”며 “물론 협상은 정의롭고 지속적인 평화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리적이고 실질적인 협상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2020년부터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가 이처럼 협상의 여지를 열어둔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올해 11월 열리는) 제2차 평화회의에는 러시아 대표단도 참석해야 한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평화회의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방안을 논의하는 협의체로, 우크라이나 측의 제안으로 성사됐다. 러시아는 지난달 스위스에서 열린 제1차 평화회의에는 초청되지 않았는데,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철수한 후에야 회담이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CNN방송은 이와 관련해 젤렌스키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처음으로 러시아와 협상할 의향이 있음을 암시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어려운 전선 상황, 동맹국 지원 규모의 불확실성,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 등이 태도 변화를 불러왔을 수 있다고 해석했다.

존 허브스트 전 우크라이나 주재 미국 대사는 “젤렌스키 대통령은 테이블 위에 오른 협상안이 정당하다면 이에 응할 용의가 있다고 강조함으로써 미래 트럼프 정부에 손을 내밀려고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어둠의 코시’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으로 향하는 매직넘버는? [해시태그]
  • 경영권 분쟁에 신난 투자자들…언제까지 웃을 수 있을까
  • Z세대의 말하기 문화, 사회적 유산일까 문제일까②[Z탐사대]
  • 와신상담 노리는 삼성…퀄컴, 스냅드래곤8 4세대 생산 누구에게?
  • 고려아연-영풍, 치닫는 갈등…이번엔 '이사회 기능' 놓고 여론전
  • “비싼 곳만 더 비싸졌다”…서울 아파트값, 도봉 7만 원 오를 때 서초 1.6억 급등
  • ‘당국 약발 먹혔나’ 9월 가계 빚 '주춤'… 10월 금리인하 가능성↑
  • 오늘의 상승종목

  • 09.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3,984,000
    • -0.38%
    • 이더리움
    • 3,454,000
    • +1.29%
    • 비트코인 캐시
    • 453,800
    • +0.2%
    • 리플
    • 792
    • +1.41%
    • 솔라나
    • 193,700
    • -1.53%
    • 에이다
    • 470
    • -0.63%
    • 이오스
    • 690
    • -0.43%
    • 트론
    • 202
    • -0.49%
    • 스텔라루멘
    • 129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500
    • -1%
    • 체인링크
    • 15,030
    • -0.73%
    • 샌드박스
    • 371
    • +0.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