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 달러 베팅 날릴 판…중국 경기 둔화에 창고·산업단지 수요 뚝

입력 2024-06-26 17: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글로벌 기관투자자, 10년간 중국 상업용 부동산에 1000억 달러 투자
동·북부 물류 부동산 공실률 20% 육박
전자상거래 성장세·무역 둔화 등 영향

▲중국 산업용 부동산 관련 투자 추이. 노란색=국내, 검은색=해외. 출처 블룸버그
▲중국 산업용 부동산 관련 투자 추이. 노란색=국내, 검은색=해외. 출처 블룸버그
중국에서 한때 국제 투자자들을 대거 끌어들였던 창고와 산업단지가 예상치 못한 수요 한파에 시달리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25일(현지시간) MSCI 리얼 캐피털 애널리틱스의 데이터를 인용해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이 지난 10년간 창고, 산업용 빌딩, 고층 오피스 빌딩 등 중국 상업용 부동산에 투자한 돈이 총 1000억 달러(약 138조9500억 원)에 달한다고 집계했다. 전자상거래, 제조업, 식품 저장 등의 장기적 호황을 예상해 물류 거점들이 대거 지어졌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결과는 정반대였다. 중국 동·북부 지역 물류 부동산의 평균 공실률은 최근 몇 년 새 최고치인 20%에 육박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데이터에 따르면 물류시설이 밀집한 동부의 창고 공실률은 1월 19.2%를 기록했다. 다만 남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상황이 양호해 전국 창고 공실률은 16.5%로 집계됐다.

물류 거점들은 세입자를 잃었고, 건물 소유주들은 임대료를 깎아주거나 임대 기간을 단축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중국 상업용 부동산을 소유한 부동산투자신탁(REIT)의 가격이 급락하고 일부 운용사들은 임대료 수입이 더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제이비어 리 모닝스타 부동산 주식 부문 애널리스트는 “중국의 물류 및 상업용 부동산이 공급과잉상태가 돼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국내 전자상거래는 쇼핑객들의 절약 성향이 높아지면서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다. 중국 소매판매의 온라인 보급률이 이미 30%로 비교적 높은 것도 배경이다. 또 기업들은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자 하는 최종 고객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의 일부를 해외로 이전하는 추세다. 이에 더해 무역 둔화로 중국 본토 내 기업들의 저장 시설 필요성도 감소하고 있다.

중국의 상황은 미국이나 다른 아시아 지역의 물류 시장과 대조적이다. 미국에서는 산업용 부동산과 창고 공실률이 상승한 지역도 있지만 한 자릿수 중반으로 과거 평균을 밑돌고 있다. 임대료 역시 계속 상승 추세다. 한국, 일본 호주에서는 물류시설의 가동률과 임대료 상승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빼빼로 과자 선물 유래는?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100일 넘긴 배달앱 수수료 합의, 오늘이 최대 분수령
  • '누누티비'ㆍ'티비위키'ㆍ'오케이툰' 운영자 검거 성공
  • 수능 D-3 문답지 배부 시작...전국 85개 시험지구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11:1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620,000
    • +6.28%
    • 이더리움
    • 4,480,000
    • +2.61%
    • 비트코인 캐시
    • 628,000
    • +12.75%
    • 리플
    • 830
    • +4.67%
    • 솔라나
    • 295,000
    • +5.58%
    • 에이다
    • 833
    • +14.9%
    • 이오스
    • 813
    • +18.69%
    • 트론
    • 231
    • +2.67%
    • 스텔라루멘
    • 153
    • +6.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450
    • +13.3%
    • 체인링크
    • 20,200
    • +3.54%
    • 샌드박스
    • 418
    • +9.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