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지고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분양실적률이 전망치를 밑돌고 있어 흥행 확률이 높은 수도권, 특히 강남권과 한강 변을 주목해야 한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1회 대한민국 금융대전'에서 '양극화한 주택시장 속 안전한 자산관리'를 주제로 한 강연을 진행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함 랩장은 "지난달 전국 아파트 공급실적률은 25%로 서울 12%, 경기도 11%, 인천 20% 수준"이라며 "분양 휴지기와 부동산 PF 대출 난항,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실제 분양실적률이 하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서울, 분당 등 수도권 선호 현상이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올해 서울 1순위 청약경쟁률이 125:1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등 당분간 서울 쏠림 현상이 지속할 것"이라며 "서울, 신축, 정비사업, 교통 호재를 주목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강남권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함 랩장은 "강남권에서 한강 조망이 가능한 마지막 서울의 알짜 지역은 개포, 반포 이런 곳도 있지만, 현재 압구정의 수요가 압도적으로 높다"며 "송파동 재건축과 관련된 기대 심리도 어느 때보다도 높은 상황"이라고 짚어냈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의 인구 소멸도 주시했다. 그는 "지역별로 노인 인구 대비 여성 인구 비율을 보면 수도권을 제외하면 인구 소멸이 상당히 현실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빈집이 늘어날 수 있고 거래량이 매우 낮고 주택이 노후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전세 시장에서도 수도권의 회복세가 돋보였다고 함 랩장은 판단했다. 그는 "수도권 전셋값이 오르고 있고 지방은 미분양과 입주물량이 상당해 보합 또는 약간 상승세를 보인다"며 "내년에는 수도권 위주의 전셋값이 좀 더 오를 것 같다"고 전망했다.
다만 단기 투자보다는 실수요를 목적으로 한 매매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예전처럼 단기 차익을 노리고 빨리 치고 빠지는 패턴은 유효하지 않다"며 "차익기대가 줄고 단기거래에 대한 양도세 부담이 있으므로, 대출이자 비용을 감당할 수 있고 자기자본이 충분하다면 매입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