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로 구성된 특별관이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인 ‘2024 바이오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USA)’에 첫선을 보였다. 참가 기업은 해외기업에 국내 기업의 기술력과 제품을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반응이다.
6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고 있는 바이오USA 행사장 한 켠, 국내 바이오 소부장 기업이 모인 ‘K-BIO 소부장’ 특별관을 찾았다. 올해 바이오USA에서 첫선을 보인 K-BIO 소부장 특별관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과 한국바이오협회가 함께 구성했다.
특별관엔 KEIT가 지원하는 바이오 소부장 연구개발을 수행한 기업 중 우수한 성과를 거둔 △아미코젠 △이셀 △엑셀세라퓨틱스 △퓨리오젠 △마이크로디지탈 △BTR △제이오텍 △셀세이프 등 8개 기업이 입주했다.
바이오 소부장은 바이오 의약품을 생산하는 위탁개발생산(CDMO)에 쓰이는 생산 설비, 일회용 소모품 등을 말한다. 세포‧유전자치료제(CGT)와 항체약물접합체(ADC) 등 바이오의약품은 살아있는 생명체로 치료제를 개발하다 보니 공정 과정이 까다롭고 미생물 오염에 취약하다.
소부장 기업은 이러한 과정에 필요한 소재·부품·장비를 제공한다. 세포 배양에 필요한 배양기(바이오리액터), 일회용 백(싱글유즈백), 배지 등이 포함된다. CDMO 기업에 관련 시설을 교육하고 공장의 설계·관리도 한다.
바이오 소부장은 CDMO 산업이 커지며 주목받고 있다. 국내 CDMO는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해 셀트리온, 에스티팜, SK바이오사이언스 등 세계 수준의 기업이 있는 것과 달리 소부장 산업에선 해외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부분이다. 국내 기업의 영향력은 미비하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 기업들은 원부자재의 92%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소부장 중 가장 자립도가 높은 장비 국산화율도 16%에 불과하다. 후발주자로 뛰어들었고, 이미 해외의 소수기업이 시장의 과반 이상을 점유해서다.
국내에서도 소부장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어지는 가운데,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인 바이오USA에 참가하며 국내 바이오 소부장을 알릴 기회를 얻었다.
현지에서 특별관을 운영하는 KEIT 관계자는 “국내 바이오 소부장 산업이 발전하며 좋은 성과를 올리다 보니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왔다. 해외기업이 주로 부스를 많이 찾는다. 내년에는 한국관 옆으로 이동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참가 기업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특별관에 입주한 이셀 관계자는 “이번 기회를 통해 해외에 우리의 제품과 기술을 노출할 수 있었다”며 “관심 있는 사람도 있고 반응은 괜찮다. 대리점을 할 수 있냐고 물어본 사람도 있었다”고 전했다.
바이오USA 참가한 소부장 기업 움틀의 박성률 대표는 “그동안 소부장 기업 공동관이 없었는데 별도로 특별관을 마련한 것은 파격이다. 국내 소부장 기업은 해외 고객을 만나기 힘든데, 특별관을 통해 만날 수 있어 좋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