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국가 대비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보험에 대한 인식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이 보험을 통해 각종 위험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일 보험연구원은 '중소기업 보험시장의 현황과 이슈' 세미나를 열고 국내 중소기업 보험시장 규모와 제조업종 중소기업의 보험가입 특성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보험연구원의 김혜성 고문과 김석영 선임연구위원은 "주요국 기업성 일반손해보험시장에서 중소기업 비중이 60%를 넘지만, 국내 중소기업 보험시장은 그 비중이 22.3~34.2%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국내 중소기업 보험시장은 해외 주요국과 달리 순수보장형이 아닌 만기환급금을 지급하는 장기재물보험, 장기단체상해보험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국내 제조업종 중소기업의 보험가입률은 화재보험과 단체상해보험을 제외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주요국과 비교해 기업휴지보험과 사이버리스크보험 분야의 보장 공백이 두드러지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높은 보장 공백은 재정 상황에 따른 보험료 부담 △리스크관리 수단으로써 보험에 대한 낮은 인식도 △필요 보험상품에 대한 인지도 부족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보험연구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손해보험 및 공제 산업, 중소기업 관련 단체, 정부 유관 부처들이 노력하고 협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중소기업 리스크관리 및 보험가입 현황에 대한 정기적 자료 조사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중소기업 보험시장의 주력 판매 채널이 보험설계사 및 대리점인 만큼 이들의 리스크컨설팅 역량을 높여야 한다고 역설했다.
중소기업들은 향후 추가 보험 가입 의향을 높이는 요소로 정부 또는 지자체의 보험료 지원(28.5%)을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꼽기도 했다.
이어 두 번째 주제발표를 진행한 최용민 뮌헨재보험 전무는 "중소기업 재물리스크는 사고 발생 빈도가 높고 더욱이 낮은 보험료에 비해 전손 가능성이 커 손해보험사의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낮다"며 "손해충당 재원의 충분한 확보를 통한 수익기반 마련 차원에서 더 많은 우량한 중소기업 고객 유치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그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타깃 리스크 고객군을 선정하고 적정 채널 활용을 통한 마케팅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간편 심사 및 언더라이팅 자동화 등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은 보험사들에 아직은 도전적인 상황인 만큼, △중소기업중앙회 △손해보험협회 △화재보험협회 등과 유기적 협업을 통한 세부 과제추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중소기업 관련 보험 시장이 매우 부진한 상황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 정도였고 상당히 많은 예산이 들어갔다"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중소기업 관련된 보험 시장 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