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금융노조 ‘근로시간 단축’ 추진
근로자·금융소비자 윈윈 모색해야
한국은 이미 ‘노쇠한’ 나라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00년 총인구의 7.2%를 기록했다. 2018년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했고, 2026년에는 20.8%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지난해에는 주민등록 인구 통계를 집계한 이후 처음으로 70대 이상 인구가 20대 인구를 앞질렀다.
의학의 발달과 노인 인구의 숫자가 비례하니 ‘수명연장’도 당연할 터. 그래서 우리는 ‘노인의 나라’가 잘 돌아갈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하는 시기가 됐다.
수명이 길어지면 ‘일해야 되는 시간’도 늘어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최근 ‘일하는 시간’을 놓고 재계와 금융계에서 상반된 분위기가 감지된다.
삼성전자와 SK그룹 등 주요 그룹은 최근 임원 주6일 근무, 경영진 참석 토요일 회의 등을 부활 시키며 ‘비상 경영’ 체제를 선언했다. 임원에 국한됐다지만 결국 하부조직으로 ‘로드’가 내려올 수밖에 없는 시스템에서는 말단직원까지 자유로울 수는 없는 게 현실이다.
2011년부터 5인 이상 모든 사업장에 주 5일제가 적용된 이후 유연한 조직문화 조성을 통해 성과를 내던 기업들이 경영 전반에 위기감이 커지자 다시 일하는 시간으로 채찍질을 시작한 것. 지난해 금요일에 쉴 수 있는 부분적 주 4일 근무제를 전면 시행했던 기업들이 하루 아침에 뒤집은 셈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들의 월 평균 근로시간은 156.2시간이었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1874시간이다. 이는 10년 전 2071.2시간에서 약 200시간이 줄어든 수치다. 역대 처음으로 연 1800시간대를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보면 여전히 많은 시간이다. 지난해 OECD 37개국 중에서 우리나라보다 근로시간이 많은 나라는 콜롬비아, 멕시코, 코스타리카, 칠레, 이스라엘 5개국뿐이다. 우리는 여전히 일을 많이 하는 국가다.
문제는 ‘업종’과 ‘여건’에 맞게 근로 시간도 탄력적인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무조건 일을 적게 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닐 수 있다는 얘기다.
얼마 전 윤석구 하나은행 노조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의 차기 지도부가 구성됐다. 윤 위원장이 꾸린 새 지도부의 간판 공약 중 하나가 주 4일제 근무다. 주 4일제를 도입하고 은행 영업시간을 9시 30분부터 3시 30분까지로 단축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경쟁 후보였던 김형선 금융노조 수석부위원장이 주 4.5일 근무를 먼저 도입한 후 금요일 휴일화를 통해 주 4일제로 확대하겠다던 공약보다 훨씬 더 급진적이다.
물론 기술 발전으로 단위 시간당 생산성이 높아졌으니 일하는 시간이 줄어들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과거에는 직장에서 얼굴을 맞대고 관계를 맺으며 업무하는 방식이 성과를 이끌어냈다면 지금은 엄연히 다르다. 프랑스 경제학자 피에르 라루튀르는 노동시간 단축이야말로 대량실업과 저성장의 탈출구이자 가장 확실하고 안전한 해법이라고 했다.
하지만 금융 서비스 업무는 일반직과는 다르다. 점심시간 휴무까지 생기면서 고객들은 불편을 감내 중이다. 근무일수가 줄어들면 창구는 더 사라질 것이다. 은행 창구가 아니면 금융업무를 보지 못하는 ‘문맹인’들이 여전히 많은 게 작금의 현실이다.
지난해 은행들은 ‘이자장사’로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에도 1분기 실적은 나름 견고하다. 무조건적 근로자의 시각이 아닌, 취약한 금융소비자도 윈윈할 수 있는 해법을 찾는 게 새 노조 지도부의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