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1.3%는 정부와 시장 예상치(0.5~0.6%)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2년 3개월 만에 0%대 저성장 터널에서 벗어났다.
이에 따라 올해 연간 성장률도 정부 전망치(2.2%), 한은 전망치(2.1%)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랜만에 우리 경제성장 경로에 선명한 청신호가 들어왔다"고 밝혔다.
그동안 생산은 반도체 업황이 회복되면서 호조를 보였지만 소비·투자 등 내수와 건설투자가 쉽게 살아나지 못해 0%대 저성장을 지속했다.
하지만 1분기에는 민간소비가 0.8% 증가하면서 지난해 2분기(2.9%) 이후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고 건설투자도 2.7% 늘었다.
경기 회복세에 더해 내수까지 살아나는 모습이라 야당이 제안하고 있는 13조 원 규모의 추경론에 다소 힘이 빠지게 됐다.
우선 1분기 깜짝 성장으로 추경 편성을 위한 법정 요건에 맞지 않게 됐다. 국가재정법 89조에 따르면 △전쟁이나 대규모 재해가 발생하거나 △경기 침체·대량 실업·남북관계 변화·경제 협력 등에 중대한 변화가 발생했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 추경을 편성할 수 있다.
지난해 역대급 세수 감소 여파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올해 삼성전자 등 대기업들의 법인세수 전망이 어둡고 여기에 지난해 국가채무가 처음으로 GDP 대비 50%를 넘어서면서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추경으로 유동성이 늘고 소비 수요를 자극한다면 인플레이션을 더 자극할 가능성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앞으로 그동안 정부가 일시적으로 누르고 있던 식품, 공공요금 등이 하반기에 몰리면 올해 2%대 물가도 어려운 상황이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5일 경제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추경 등 물가를 자극할 수 있는 정책엔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기회복이 물가상승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면밀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다만 체감 경기가 좋지 않다는 점에는 정부나 여야 모두 이견이 없다는 점에서 야당의 민생 지원용 추경 요구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추경의 필요성으로 "고물가 장기화로 서민과 중산층의 생활 부담과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추경을 편성해 민생 회복에 나서야 한다는 명분은 여전히 살아있다.
향후 여야 협치 분위기에 추경이 추진되더라도 전국민 지원이냐 선별 지원이냐를 놓고서도 논란이 예상된다. 대통령실도 선별적 제한을 전제로 한 민생회복지원금 지원을 의제로 올리는 방안에는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