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기상 여건이 개선되고 긴급 농축산물 가격안정자금의 지원 효과도 나타나면서 전반적인 농·축·수산물 가격은 내림세를 보이나 중동 불안으로 석유류 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는 등 물가 불안요인이 지속하고 있다는 평가다.
21일 OECD에 따르면 올해 2월 한국의 먹거리 물가 상승률은 6.95%로 OECD 평균(5.32%)을 웃돌았다.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가 OECD 평균을 넘어선 것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2021년 11월 이후 2년 3개월 만이다.
2월 기준 먹거리 물가 상승률은 통계가 집계된 35개 회원국 중 튀르키예(71.12%), 아이슬란드(7.52%)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OECD 평균 먹거리 물가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후로 급상승해 같은 해 11월 16.19%로 정점을 찍었다. 러시아는 밀과 천연가스의 세계 최대 수출국, 우크라이나도 세계적인 밀 수출국이다.
이후 지난해 7월(9.52%) 10%를 밑돈 데 이어 올해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 수준인 5%대로 떨어지는 등 빠르게 정상화하는 모습이다.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는 사과·배 등 과일이 주로 견인하고 있다. 지난달 사과 물가는 88.2%, 배는 87.8% 올라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0년 1월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정부는 4월 들어 기상 여건이 개선되고 긴급 농축산물 가격안정자금의 지원 효과도 나타나면서 전반적인 농·축·수산물 가격은 내림세를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과일과 일부 채소류 가격이 아직도 높은 수준이고 중동 불안으로 석유류 가격도 빠르게 상승하는 등 물가 불안요인이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3월 석유류 물가는 1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정부는 하반기 물가가 하향 안정화하면서 올해 물가상승률이 기존 전망인 2.6%로 수렴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달 19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기자들과 만나 "불안 요인이 많이 있고 여러 상황은 더 봐야 하겠지만 근원 물가는 안정적이기 때문에 하반기 물가는 하향 안정화가 할 것"이라며 기존 생각을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