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연체율이 치솟고 있는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에 대해 다음 달 현장검사에 나선다. 저축은행업계는 지난해 5000억 원이 넘는 적자를 냈고, 연체율도 2015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새마을금고도 연체율이 최근 7%대까지 치솟으며 자산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보이고 있다.
31일 금감원에 따르면 다음 달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을 살피는 등 건전성을 들여다보기 위한 현장검사에 나선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업계는 2022년 말 1조5622억 원의 흑자를 기록했으나, 지난해 5559억 원의 순손실로 돌아섰다. 1년 새 2조 원이 넘는 순익이 증발한 셈이다.
올해도 상황은 좋지 않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관련 대손충당금 적립 등으로 인한 비용증가와 기업대출 연체율도 급증한 영향이다.
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은 6.55%로, 전년 말(3.41%) 대비 3.14%포인트(p) 상승했다. 2015년 12월(9.2%) 이후 최고 수준이다. 특히 기업대출 연체율은 8.02%로, 전년 말(2.9%)보다 5.12%) 증가했다. PF대출 연체율도 6.94%로, 전년 말(2.05%)보다 4.89%p 높아졌다.
금융당국은 올해 들어서도 저축은행의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1분기 말 연체율이 나오는 대로 현장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새마을금고 역시 연체율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작년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전체 연체율은 5.07%였지만, 올해 1월 기준 6%대, 2월엔 7%대까지 추가 상승한 것으로 금융당국은 전망했다.
부동산 경기 불황이 지속되면서 PF와 유사한 성격의 관리형토지신탁이나 공동대출 부실화가 새마을금고 연체율 상승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금감원은 다음 달 8일부터 예금보험공사, 새마을금고중앙회 등과 함께 새마을금고에 대한 공동 현장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앞서 금융당국과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7월 새마을금고에 대한 공동검사를 실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 공동 현장검사는 당시 발표 이후 이뤄지는 첫 공동 검사가 될 전망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번 현장검사를 통해 연체율 관리 등 건전성 부분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게 될 것"이라며 "부실 위험에 상응하는 충분한 충당금 적립 유도 등 관련 업권의 손실흡수능력 확충 등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