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피해 방지를 위한 금융당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인당 피해금액이 확대되고 있다. 2030세대의 피해금액이 큰 폭으로 늘면서 보이스피싱이 더이상 고령층만을 노린 범죄가 아니라는 경종을 울렸다. 특히 정부·기관사칭형 사기수법으로 1억 원 이상의 고액피해자와 20대 이하 사회초년생의 피해가 집중되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은 7일 '2023년 보이스피싱 피해현황'을 발표하고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1959억 원으로 전년(1451억 원)보다 35.0%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 피해자 수는 감소했지만, 1000만 원 이상 고액 피해사례가 늘어나면서 피해규모 및 1인당 피해액이 크게 늘었다.
피해자 수는 2022년 1만2816명에서 지난해 1만1485명으로 10.4%로 감소했다. 반면, 1인당 피해액은 2022년 1132만 원에서 지난해 1706만 원으로 50.7% 급증했다.
1억 원 이상 피해자가 수가 69.9% 증가했고, 1000만 원 이상 피해자도 29.3%나 늘면서 고액 피해자가 증가했다.
1억 원 이상 초고액 피해의 경우 정부‧기관사칭형 사기수법에 당한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 피해금액은 44.4%에 달했고 피해자 수도 39.0%를 차지했다. 1인당 피해금액 1965억 중 피해자의 지급정지 및 피해구제신청을 받아 652억 원이 피해자에게 환급됐다. 환급률은 33.2%로 전년(26.1%)보다 7.1%포인트(p) 개선됐다.
주요 사기유형별 비중은 대출빙자형이 35.2%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족·지인 사칭형 메신저피싱 33.7%, 정부기관 사칭형 31.1% 순이었다.
피해액 증가는 정부기관 사칭형이 381억 원 늘었고, 대출빙자형 피해가 381억 원 늘어 가장 많았다. 가족·지인 사칭 메신저피싱 피해액은 전년보다 265억 원 줄었다.
연령별로는 50대와 60대가 각각 29.0%, 36.4%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가장 많았다.
주목할만한 점은 2030세대의 피해가 큰 폭으로 늘었다는 점이다. 20대 이하와 30대는 각각 전년보다 피해금액이 139억 원, 135억 원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사회초년생인 20대 이하 피해자의 85.2%는 정부·기관사칭형 사기수법에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와 40대 피해자의 62.9% 69.1%는 대출빙자형 수법에 피해를 당했다.
보이스피싱 사기에 이용된 계좌 중 은행 계좌를 통한 피해금 입금액이 1418억 원으로 72.1%를 차지했다. 인터넷전문은행 비중은 지난해 10.0%로 전년(20.9%)에 비해 크게 줄었다. 반면, 상호금융조합 등 중소서민금융권을 통한 피해금 입금액은 517억 원으로 전년(306억 원) 대비 211억 원 증가하는 등 풍선효과를 보였다.
금감원은 "지난해 정부기관 사칭형 사기피해가 모든 연령대에 걸쳐 증가했다"며 "과태료·범칙금 납부, 택배·배송 조회, 모바일 경조사 알림 등을 사칭한 스미싱(URL 포함)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범행시도가 급증한 데 기인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개인정보 제공 및 자금 이체 요청은 무조건 거절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URL주소는 절대 터치하지 말라"며 "피해금을 송금한 경우 즉시 계좌 지급정지를 신청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