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께 우리나라 계층 이동성을 파악할 수 있는 '소득이동통계'가 공개된다. 지역 인구감소 대응 및 발전 수립을 위한 통계도 생산된다.
통계청은 12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년 통계청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중점 추진 과제는 민생통계 생산·서비스, 역동 경제와 기업 경영 지원, 인구 위기 대응 뒷받침, 국가 통계 신뢰 회복 등이다.
우선 통계청은 소득이동통계를 개발해 올해 12월께 최근 6개년(2017∼2022년)치를 공표할 예정이다.
소득이동통계는 전 국민의 20%(약 1000만 명) 규모의 개인을 대상으로 통계청 등록센서스와 국세청 소득자료를 결합해 작성한다. 이를 통해 성·연령·시도별로 소득 분위의 이동확률을 보여준다.
소득이동통계는 통계청이 공표하는 첫 패널데이터다. 일명 종단데이터로도 불리는 패널데이터는 동일한 개인에 대해 매년 인구·가구·소득 정보 등의 변화를 추적한 데이터를 말한다.
공표될 때는 개인이 특정되지 않고 한 그룹의 이동을 볼 수 있다. 예컨데 20대의 소득분위 변화 추이를 연도별로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통계청은 "소득이동통계로 취약계층을 식별하고, 신규 노동시장 진입 특성과 정책 지원 이후 효과 등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 인구감소 대응을 위한 통계도 생산한다. 중장기 지역발전 전략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시도 장래인구추계(2022∼2052년)를 중위에서 고위·저위로 확장해 올해 5월 공표한다.
인구·가구 구조의 변화 추세와 지역 특성을 반영해 2022년 기준 시도별 장래가구추계(2022∼2052년)도 올해 말 공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기업 수출과 경제활력 제고를 지원할 수 있는 경제통계 생산에도 역량을 집중한다.
통계청은 수출기업이 필요한 해외 통계·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달 중 해외통계를 구축한다. 해외 진출기업의 필요 통계 목록을 짜고 통계청과 협력 체결을 맺은 국가의 자료를 모아 제공한다.
연내 통계청의 기업통계등록부와 관세청의 무역 정보,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지원 정보 등을 연계한 빅데이터 제공서비스도 시작한다.
이에 따라 기업별 특성 정보(산업분류·기업규모 등)와 수출입 무역액, 중소기업 금융·인력 지원 정보의 교차분석이 가능하다. 기업 특성별 무역통계의 공표 주기는 기존 연간에서 분기로 단축한다.
학령기 아동·청소년 정책 지원 데이터도 마련된다. 교육부의 재학 정보, 여성가족부의 위기 청소년 데이터, 법무부의 출입국 데이터와 아동가구통계등록부를 결합해 가령 재학 정보 기반 학교급별 다문화 지수를 만들고, 학교 밖 청소년 실태를 분석 공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비자물가지수의 국민 체감도와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행정자료를 활용한 주거비 지수를 개발하고, 자가 주거비 지수를 주 지표로 전환한다.
이밖에도 다양한 고용 형태를 보여줄 수 있도록 플랫폼 노동자와 같은 의존 계약자 관련 고용 지표를 만들고, 고령화 시대에 발맞춰 고령층은 기존 70세 이상에서 70∼74세와 75세 이상으로 분리해 공표한다. 관련 고용통계 조사는 연말께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