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제조업 취업자 가운데 60세 이상은 전년보다 5만1000명 늘어난 59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20대 이하는 전년보다 3만3000명 줄어든 55만5000명이었다.
제조업에서 60세 이상 취업자가 10∼20대보다 많은 건 2014년 산업 분류 개편 이후 작년이 처음이다.
60세 이상 제조업 취업자는 2014년 23만1000명에서 작년 59만9000명으로 36만8000명 급증했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4년 5.2%에서 지난해 13.4%까지 높아졌다.
인구 고령화, 퇴직하지 않고 계속 일하려는 욕구 등으로 일하는 노년층이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0대 이하는 2014년 62만5000명에서 작년 55만5000명으로 7만 명이나 줄었다.
오랜 기간 청년 최다 취업 업종으로 꼽혔던 제조업은 청년의 제조업 기피 현상, 고졸 취업 청년의 감소 등으로 취업자가 줄고 있다.
작년 20대 제조업 취업자는 숙박·음식점업 취업자(57만4000명)보다도 적었다. 이는 2014년 이후 처음이다.
2014년 20대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40만2000명으로 같은 해 제조업 취업자의 3분의 2 수준에 불과했지만 2019년 52만8000명을 기록하며 50만 명을 처음 넘어섰다.
대학에 진학하는 청년들이 점차 늘면서 20대 초반의 고졸 취업자가 줄어든 점도 20대 제조업 취업자 감소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여기에 더해 최근 청년들의 중소기업·지방 일자리 기피 현상으로 20대의 제조업 이탈이 가속하고 있다.
송상윤 한국은행 제주본부 기획금융팀 과장은 'BOK 이슈노트 지역 노동시장 수급 상황 평가' 보고서에서 "젊은 연령층뿐 아니라 40대도 제조 현장직을 기피하고 있다"며 "60대는 전 직종 구직 증가율보다 제조 현장직 구직 증가율이 더 높아 일자리를 구하기 힘든 60대 이상 고령층에서만 제조 현장직 취업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