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외부압박 커...숨통 틜 합리적 가격정책 필요"
서민 생활과 특히 밀접한 식음료업계는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눈치 보는’ 한 해를 보냈다. 원·부자재와 인건비 상승 등으로 제품 가격을 올리려는 업계와 고물가를 잡으려는 정부 간 줄다리기는 연초부터 연말까지 계속 됐다.
주요 타깃은 서민 생활과 밀접한 라면이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월 라면 업계를 겨냥해 “국제 밀 가격이 내려간 만큼 라면 가격을 내려야 하지 않겠냐”고 압박했다.비슷한 시기 한덕수 국무총리도 “원료(가격)가 내렸는데, 제품 가격이 높은 건 담합가능성”이라고 지원사격을 했다.
농림축산식품부까지 제분업계와 만나 밀가루 가격 인하를 요청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자, 주요 라면 업체들은 잇달아 ‘가격 인하’로 백기 투항했다. 업계 1위인 농심이 ‘신라면’ 출고가를 4.5% 인하했고, 삼양식품도 삼양라면, 짜짜로니 등 라면류 12종의 출고가를 평균 4.7% 내렸다. 이어 팔도와 오뚜기도 라면 제품을 각각 평균 5.1%, 5% 내렸다.
제과·제빵 업체도 정부의 가격 인하 요구에 부응했다. 롯데웰푸드는 ‘제크’ 등 과자류 3종의 편의점가를 5.8% 인하했고, 해태제과도 ‘아이비’ 오리지널 제품을 10% 인하했다. SPC삼립과 파리바게뜨 역시 정통크림빵 등 제품 30종의 가격을 평균 5% 낮췄다.
고물가에 견디다 못한 일부 업계는 인상 계획을 잡았다가 다시 철회하는 촌극도 빚었다. 오뚜기는 지난달 케첩·카레 등 주요 제품 24종의 편의점 가격을 12월부터 5~17% 인상하려는 계획을 세웠다가, 반나절 만에 철회했다. 풀무원도 이달부터 초코그래놀라 등 유음료 3종의 편의점 판매가를 평균 4.5% 인상하려다 취소했다.
주류업계도 연초부터 정부의 가격 조정 압박에 시달렸다. 올해 2월 추 부총리는 “세금이 올랐다고 주류 가격을 그만큼 올려야 되느냐”며 물꼬를 텄다. 뒤이어 기획재정부가 주류 가격 인상 요인·시장 구조를 살피겠다고 하자 오비맥주, 하이트진로 등은 가격 인상을 유보했다.
그러다 주류업계는 ‘대목’인 연말을 노려 일제히 가격 인상에 나섰다. 오비맥주는 10월 ‘카스’, ‘한맥’ 등 주요 맥주의 출고가를 평균 6.9% 인상했다. 하이트진로도 11월 들어 소주 ‘참이슬’의 출고가를 6.95% 올렸다. 이달 18일에는 롯데칠성음료가 ‘처음처럼’과 ‘새로’의 반출가격을 각각 6.8%, 8.9% 인상했다. 그러자 정부는 이달 17일 기준판매비율을 도입, 가격 인하 효과를 노렸다. 기준판매비율 도입으로 국산 증류주에 붙이는 세금을 인하, 소줏값을 최대 10.6% 낮출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보다 앞서 주류업체가 일제히 출고가를 잇달아 인상, 정부가 의도한 가격 인하 효과는 상당히 희석되게 됐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서민 물가와 직결되는 주요 식품에 대해 가공식품 담당 공무원을 지정하는 전담 관리제를 도입하는 등 가격 통제 정책을 이어가고 있다. 또 기존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용량을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shrink+inflation)’ 사례도 집중 단속하고 있다. 연말까지 업계를 밀착 관리해 가격 상승을 계속 억제하겠다는 것이다.
식음료업계 한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원자재 가격 인상 등 대외적 요인부터 전기료와 인건비 인상까지 원가 압박이 그 어느 해보다 컸다”며 “정부의 전방위 압박이 되레 슈링크플레이션 같은 부작용을 불러온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업계가 조금이나마 숨통을 틔울 수 있는 합리적인 가격 조정 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