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은행 등에서 돈을 빌리지 못해 대부업체를 이용한 가구주 비중이 4년 만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하위 20%인 1분위 가구주의 대부업체 이용 정도가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주보다 2배 더 많았다.
10일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신용대출 가구주 중 대부업체 등 '기타 기관 등'에서 돈을 빌린 가구주 비중은 7.9%로 전년(6.9%)보다 1.0%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2019년(11.4%) 이후 4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기타 기관 등' 대출 가구주 비중은 2019년 정점을 찍고 매년 하락해 지난해 6.9%까지 내려왔다. 하지만 올해 8% 가까이 상승했다.
'기타 기관 등'은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우체국·새마을금고 등을 제외한 기타 여신업체를 뜻한다. 저신용자들이 돈을 빌릴 수 있는 제도권 내 마지막 금융 창구로 볼 수 있다.
소득 5분위별로 보면 1분위 가구주의 '기타 기관 등' 대출 비중이 13.1%로 가장 높았다. 소득 5분위(6.4%)보다 2배 더 많은 것이다.
또 다른 급전 대출 창구 중 하나인 보험회사 신용대출 가구주 비중도 작년 0.8%에서 올해 1.1%로 상승했다.
반면 제1금융권인 은행에서 돈을 빌린 가구주 비중은 79.8%에서 78.8%로 1.0%p 하락했다. 비은행금융기관인 저축은행(3.8%)과 우체국·새마을금고(8.4%) 대출 가구주 비중도 작년보다 각각 0.2%p 하락했다.
'기타 기관 등' 대출 가구주 비중 증가는 지난해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금리가 오르자 저축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이 신용대출 규모가 줄면서 제도권 내 마지막 창구인 대부업으로 신용대출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 지난해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조달·대출금리 상승으로 저신용자를 상대로 한 대출이 일부 중단되는 '컷오프 현상'이 나타났다. 채권 금리가 오르면서 신용카드사들도 신용대출을 줄이기도 했다.
우려스러운 점은 고금리 장기화 및 조달금리 상승으로 최근 대부업 마저 대출을 줄이고 있어 신용등급이 낮은 서민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