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7개 시ㆍ도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보통교부세는 최종예산안 기준 57조1000억 원으로 애초 행정안전부에서 내려보내기로 한 보통교부세 66조1000억 원보다 13.7%(9조 원) 적었다. 작년 69조9000억 원과 비교하면 12조8000억 원(18.3%)이나 감소했다.
이는 올해 국세 수입이 애초 예상보다 감소하면서 이를 재원으로 한 보통교부세도 크게 줄어든 것이다. 보통교부세는 매년 해당연도 내국세 수입의 19.24%에 해당하는 금액 중 97%를 총액으로 해서 각 시ㆍ도에 배분한다.
올해 국세 수입은 341조4000억 원으로 애초보다 59조1000억 원이나 크게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ㆍ도별로 보면 서울과 대구, 광주 등 3개 시ㆍ도를 제외하고 14개 시ㆍ도에서 보통교부세가 줄었다. 경북이 애초 예정분보다 1조7000억 원 줄어 17개 시도 가운데 감소분이 가장 컸다. 이어 강원(-1조2000억 원), 경남(-1조1000억 원), 전남(-1조1000억 원) 순으로 크게 줄었다.
세수펑크는 지자체가 걷은 지방세도 마찬가지였다. 제주를 제외한 16개 시ㆍ도의 올해 지방세수는 최종예산안 기준 108조6000억 원으로 애초 올해 본예산을 짤 때 예상했던 규모(113조5000억 원)보다 4조9000억 원(4.3%)이나 적었다. 작년(116조5000억 원)과 비교하면 7조9000억 원(6.7%)이 감소했다.
시ㆍ도별로 보면 16개 시ㆍ도 모두 본예산보다 지방세수가 부족했다. 경기가 1조9000억 원 부족해 가장 컸고 서울(-1조1000억 원), 대구(-4000억 원) 순이었다.
수입 부족에 각 지자체는 지방채를 발행하거나 기금에서 돈을 빌려 대응했다.
올해 광주·대전·경기·충남·전북 등 5개 시ㆍ도는 지방채를 발행했다. 이들이 발행한 규모는 2449억 원이다. 대구·인천·광주·경기 등 11개 시ㆍ도는 올해 기금에서 1조5000억 원을 차입해 메꿨다. 이를 합치면 1조7000억 원이 넘는다.
양경숙 의원은 "국가 세수 결손으로 지방정부도 재정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보통교부세 감액 등 시도예산이 애초 계획보다 10∼20% 이상 줄어든 데다, 지방채 발행 등으로 향후 재정 운영계획까지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