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은 27세부터 노동 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 인생'에 진입해 43세에 노동 소득 정점을 찍고 61세부터는 소비가 노동 소득보다 많은 '적자 인생'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국민이전계정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연령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연령집단(세대) 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다.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정부·가계의 재정 부담 등 미래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대비하고자 작성된다.
2021년 기준 총소비는 1148조8000억 원, 노동소득은 1040조 원으로 조사됐다. 생애주기에서 총 108조8000억 원의 적자가 발생했다는 의미다. 전년보다 적자 폭이 11조4000억 원(11.6%) 확대했다. 총소비(전년대비 +6.2%)가 노동소득(+5.7%)보다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노동연령층(15~64세)은 179조7000억 원 흑자, 유년층(0~14세)과 노년층(65세 이상)은 각각 151조8000억 원, 136조7000억 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1인당 생애주기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은 0세부터 26세까지 소비가 노동 소득보다 많아 적자 상태다. 특히 교육비 등 소비가 많은 17세 때 적자가 3527만 원(연 평균)으로 전 연령 중 최대다.
27세부터는 노동 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 구간(103만 원)'에 진입한다. 43세에 생애 가장 많은 노동 소득(3906만 원)을 벌고, 같은 나이에 생애 최대 흑자(1792만 원)를 냈다.
60세까지 흑자가 계속되지만, 61세부터는 다시 노동 소득보다 소비가 많아져 '적자 인생(-147만 원)'으로 돌아섰다. 61세부터 나이 들수 록 적자 규모는 확대됐다.
적자 전환 연령은 예전보다 높아지는 추세다. 2010년에는 56세에 적자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2021년에는 5년 더 늦춰졌기 때문이다. 고령화 등으로 은퇴 연령이 길어진 영향이다.
총소비(1148조8000억 원) 중 노동연령층(817조 원)의 소비가 가장 많았고, 노년층(180조 원), 유년층(151조8000억 원) 순이다. 1인당 소비는 17세(3575만 원)가 교육소비 등으로 가장 많았다.
공공교육, 공공보건 등 공공소비는 377조8000억 원이었다. 이중 노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20.9%로 2010년 13.7%과 비교해 매년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민간소비는 771조1000억 원으로 유년층에서 69조1000억 원, 노동연령층에서 600조9000억 원, 노년층에서 101조1000원이 각각 발생했다.
임금소득과 자영업자노동소득을 합한 노동소득(1040조 원) 중 임금소득(1003조 원)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임금소득은 40대, 자영자노동소득은 50대에서 높았다.
생애주기별로 발생한 적자는 이전이라는 형태로 상당 부분 해소됐다. 공공ㆍ민간이전 기준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된 275조4000억 원이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각각 154조4000억 원과 118조6000억 원씩 이전됐다.
이중 정부(공공이전)는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174조1000억 원)된 세금과 사회부담금으로 유년층(83조2000억 원)과 노년층(90조9000억 원)에 교육·보건서비스, 아동수당, 기초연금, 연금 등을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