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임금 증가율이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8월 이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폭 확대로 실질임금 감소세는 연말까지 지속할 전망이다.
고용노동부는 31일 발표한 ‘9월 사업체노동력조사(8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8월 상용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374만2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1.1%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월에 이어 2개월 연속 1%대 임금 증가다. 종사상 지위별로 상용근로자(397만 원)는 특별급여(-19.2%)가 큰 폭으로 줄며 1.3% 증가에 그쳤고, 임시·일용직(176만2000원)은 2.5% 증가했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0.5%)과 이상(2.0%) 모두 과거에 비해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고용부는 임금 상승률이 높았던 전년도 기저효과를 임금 둔화의 주된 배경으로 봤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임금은 6개월 연속 감소했다. 임금이 정체된 상황에 물가 오름폭은 확대되고 있어 실질임금 감소세는 연말까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통계청에 따르면, 6~7월 2%대에 머물던 물가 상승률은 8월 이후 다시 3%대로 올랐다. 특히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등으로 국제유가 불확실성이 커져 물가 안정이 예상보다 지연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1~8월 누계 실질임금은 전년 동기보다 1.6% 감소했다. 9월 이후 실질임금 감소 폭이 더 확대되면 누계 실질임금 감소율은 2%에 근접하게 된다.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61.1시간으로 전년 동월보다 1.1% 줄었다. 상대적으로 근로시간이 짧은 숙박·음식점업,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에서 임시·일용직이 늘며 평균치가 줄었다.
고용시장 상황도 어둡다. 9월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1990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31만 명 느는 데 그쳤다. 3개월 연속 둔화세이자, 2021년 4월(29만9000명)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종사상 지위별로 상용직, 규모별로 300인 미만 사업에서 둔화가 두드러졌다.
산업별로는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은 숙박·음식점업,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 쏠림이 심하다. 두 산업에서 증가한 종사자는 15만9000명으로 전 산업 증가 폭의 두 배를 넘었다. 건설업과 교육 서비스업 등에선 종사자가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