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 순방 계기로 총 202억 달러(약 27조 원) 규모의 수출·수주 계약 및 양해각서(MOU) 체결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중동 국가와 탈(脫) 탄소 기반 '중동 2.0'으로 협력관계 전환 발판을 마련하고, 올해 1월 아랍에미리트(UAE)에 이어 사우디, 카타르까지 '중동 빅(Big) 3' 국가와 협력도 완성했다. 윤 대통령은 이 같은 '새로운 중동 붐'에 바탕, 대내외 경제 위기를 돌파하는 데 노력할 전망이다.
한국 대통령으로 처음 사우디·카타르 등 중동 2개국을 국빈 방문한 윤 대통령은 '경제' 외교에 집중했다.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을 표방한 윤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 간 분쟁으로 중동 상황이 불안정함에도 사우디·카타르 측과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끌어냈다.
이번 순방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등 139명의 경제사절단도 동행했다. 대기업 35개사, 중소·중견 기업 94개사, 공기업·기관 3곳, 경제단체 및 협회·단체 7곳 등으로 꾸려진 경제사절단은 윤 대통령 순방 기간 다양한 분야에서 수출·수주 실적을 달성했다.
이번 중동 순방 계기로 거둔 수출·수주 실적은 MOU까지 포함하면 사우디 156억 달러, 카타르 46억 달러 등 모두 202억 달러(약 27조 원)다. 지난해 11월 사우디 왕세자 방한 계기로 성사된 290억 달러, 올해 1월 UAE 국빈 방문 때 발표된 300억 달러 투자 계획까지 더하면 중동 빅3 국가와 모두 792억 달러(약 107조 원)에 달하는 성과를 거둔 것이다.
대통령실은 이번 순방 계기에 기업들이 체결한 총 63건의 계약과 MOU를 분석, 압도적인 비중은 '사우디 비전 2030', '카타르 국가 비전 2030'과 관련한 새 협력 분야라고 설명했다.
사우디 '비전 2030'은 포스트 오일 시대 대비 차원에서 세운 국가전략으로 △경제를 통한 비석유 부문 고양 창출 및 경제 활성화 △국제무역·교통 허브국가 건설 △공공투자기금(PFI), 세계 최대 국부 펀드로 육성 등이 핵심이다.
카타르 '국가 비전 2030' 역시 사우디와 마찬가지로 △인력 개발 △외국인직접투자(FDI)를 위한 사업환경 개선 △인프라 투자 △지식기반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등으로 포스트 오일 시대 대비를 하기 위해 마련한 전략이다.
한국은 그간 이들 국가와 에너지(석유·LNG 등) 및 건설 분야에서 주로 협력해왔다. 윤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서 협력 분야 다변화를 예고했다. 기존 경제 협력 구조를 강화하면서 새로운 과제로 '미래 먹거리' 창출에 나설 계획이었다. 주요 기업들의 사우디·카타르 국가전략 관련 계약 및 MOU 체결은 이 같은 계획이 성과로 이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주목할만한 성과는 현대차와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4억 달러 합작 투자로 킹 압둘라 경제단지 내 CKD(반조립제품) 자동차 공장 설립하는 계약, HD현대중공업과 카타르에너지가 체결한 LNG 운반선 17척 건조 계약 등이다.
이에 대해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24일(현지 시각) 카타르 도하에 마련한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우리나라와 중동 국가가 전기차와 배를 같이 만들며 새로운 산업 지도를 함께 그리는 협력은 과거에는 상상하기조차 어려웠던 모습"이라며 높이 평가했다.
순방 계기에 사우디·카타르와 에너지 안보 협력 강화 성과도 있었다. 최근 중동 정시 불안이 고조되면서 국제 유가는 심상치 않다. 국내 물가 역시 국제 유가 상승과 맞물려 오름세를 보였다.
정부는 이 같은 상황에서 사우디와 530만 배럴의 원유 공동비축 계약을 체결했다. 올해 1월 UAE와 400만 배럴 규모로 국제 공동 비축 사업을 성사시킨 데 이은 대응이다. 카타르와도 안정적인 LNG 공급 방안을 논의하고, 협력 범위도 운반선 건조, 선박 운영과 유지 보수 등 전후방 산업 전반으로 확대했다.
최 수석은 이를 포함한 순방 계기 기업들의 다양한 수출·수주 및 투자 유치 등 성과에 대해 "'중동 2.0'으로의 전환은 한-중동 공동번영 시대를 여는 것이고 우리 국민과 기업에는 새로운 기회의 창이 열리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정상 순방을 통해 우리 기업의 수출·수주를 지원하고, 국내 투자를 유치하는 등 궁극적인 목적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라며 "후속 조치에 즉각 착수해 MOU와 상담 실적 등이 빠른 시일 내 구체적인 수출·수주 성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