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 스테이킹 유지…“참여자가 서브다오ㆍ이자 선택할 수 있어”
과도한 규제는 혁신성↓…“한국 긍정적이지만 근본적 접근해야”
룬 크리스텐센 메이커다오 공동창업자 겸 CEO는 KBW 2023 메인컨퍼런스 ‘임팩트’ 기간이었던 6일 이투데이와 만나 메이커다오의 다음 목표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앞서 3월 발표한 거버넌스 개편안 ‘엔드게임(Endgame)’, 그중에서도 ‘서브다오(Sub Dao)’를 통해 시장을 혁신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서브다오는 메이커 생태계 내에서 자체 거버넌스 토큰과 의사 결정권을 가진 소규모 특화 조직으로 활동하게 된다. RWA(실물연동토큰), AI 등 특정 분야에 특화된 서브다오가 각자 구성원들이 관심있는 분야에 투자를 비롯한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리스크는 개별 서브다오가 지는 대신에 활동이 성공적일 경우에는 이에 대한 보상도 더 많이 가져갈 수 있는 구조다.
기존 메이커다오의 스테이블코인 ‘다이(DAI)’ 운영체계는 그대로 유지된다. 현재 메이커다오는 ‘다이’ 발행을 통해 마련된 자금을 최근 미 국채 등 실물 자산에 투자하면서 5%대 ‘다이 저축 이율(DSR)’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서브다오 참여와 스테이킹 이율을 동시에 가져갈 순 없고, 참여자들은 다이 스테이킹을 통해 이자를 획득할지, 서브다오의 거버넌스 토큰을 받을지 선택해야 한다.
크리스텐센 CEO는 스테이블 코인의 기본 모델을 은행이라고 비유하며 “결국 스테이블코인 발행으로 생긴 자본을 어디에 투자 혹은 저축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메이커는 현재 이를 미 국채에 보관하고 있는 것이고, 서브다오에 자본이 예치되면 해당 커뮤니티가 어디에 투자할지 최종 결정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다만 부문별한 투자를 방치하진 않을 계획이다. 서브다오의 투자가 불법이거나, 메이커 자산을 대출해 진행되는 등 전체 생태계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일정한 규칙을 통해 위험을 관리한다. 그는 이에 대해 “블록체인은 완전 투명하게 정보가 공개되기 때문에, (이러한) 규칙을 왜, 어떻게 정했는지도 모두 알 수 있다”면서 “위험성이 너무 큰 경우에는 공개된 정보를 보고 판단할 수 있다. 문제 생기면 예전처럼 모른 척하는 시스템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가장 중요한 점은 참여자들이 서브다오를 통해 블록체인 위에서 재미있는 일들을 할 수 있다는 것”이라면서 “서브다오가 현실의 각 영역들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고, 그 고유성 때문에 혁신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가장 높은 수익률 올리면서 안전하고 쉬운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한편 메이커다오의 대표는 점차 관심이 커지고 있는 블록체인 규제에 대한 의견도 제시했다. 그는 “최근 규제 당국의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접근 방식은 테라·루나같은 중앙화된 프로젝트에 대한 것”이라면서 “중요한 것은 스테이블코인을 정확히 모른 채 규제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전체 기술에 대한 규제는 어불성설”이라며 “최악의 상황으로 탈중앙화 기술을 중앙화 틀 안에 가두게 되면, 해당 국가는 혁신에서 뒤처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그런 점에서) 한국은 혁신 기술을 받아들이는데 빠르고 적극적이지만, 규제를 도입할 때 (탈중앙 기술의 특성을) 근본적으로 생각하고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