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8일 '민간소비 회복 모멘텀에 대한 평가'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민간소비에 대해 지난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본격적으로 완화된 이후 회복흐름을 이어왔으나, 올해 2분기 들어 소폭 감소(전기대비 0.1% 감소)하고 7월에도 줄어든 것으로 추정했다.
소비 형태별로 보면 2분기 및 7월 중 대면활동과 관련이 깊은 재화 및 서비스 소비가 전기 대비 큰 폭 감소한 반면, 여타 소비는 대체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재화 소비(소매판매 기준)는 의복·신발 등 준내구재 지출이 큰 폭 감소했으나 승용차, 음식료품 등 내구재와 비내구재는 증가했다.
서비스 소비(서비스업 생산 기준)는 음식·숙박, 육상 여객이 감소 전환했으나 보건복지 등은 증가하했다.
보고서는 "이처럼 2분기 및 7월중 대면활동 관련 소비가 부진한 것은 펜트업 수요 둔화 외에 날씨 등 일시적인 요인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올해 1분기 중 평균기온이 예년보다 높아 봄철 의류 선구매가 증가했는데, 이는 의복 등 준내구재소비 감소로 이어졌다.
5월 이후 특히 7월에는 평년 수준을 상회하는 강우로 인해 의복, 음식·숙박, 레저, 여행 등 대외활동과 관련된 품목을 중심으로 재화 및 서비스 소비가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신용카드 미시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에서도 강수량 증가시 레저, 숙박, 음식점 등의 지출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됐다.
소매판매 지수와 서비스업 생산지수, 7월 신용카드 등 고빈도 자료를 이용해 개략적으로 추정해본 결과, 4~7월중 국내소비는 1~3월 대비 0.5% 내외 감소했다. 그러나 날씨 영향을 특히 많이 받는 품목을 제외하면 0.2% 내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향후 민간소비에 대해 날씨 등 일시적 요인이 사라지면서 회복 흐름을 재개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회복의 정도는 △소비여력 △소비성향 △여타 소비 여건(주택가격 등)에 좌우될 것으로 판단했다.
소비여력의 경우, 양호한 고용 상황, 물가 상승세 둔화 등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점차 개선되는 가운데 그간 축적된 가계 초과저축이 소비 여력을 뒷받침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제조업 경기 부진으로 임금상승세는 다소 둔화되겠으나 취업자수의양호한 증가 흐름과 물가 상승세 둔화에 힘입어 가계 실질구매력은 하반기 이후 개선될 전망이다.
다만 고금리로 인해 높아진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부담은 소비여력을 제약하는 요인이 될 전망이다. 신규 가계대출 금리와 달리, 기존 대출까지 고려한 잔액기준 금리의 경우 아직 고점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로 인해 가계의 높은 이자비용 부담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성향은 최근 소비심리 개선이 소비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나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은 점이 가계 소비를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 또 고금리 지속, 급속한 고령화 등도 가계 저축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상존하고 있다.
이 밖에 최근 주택경기 개선은 가계대출의 증가를 수반하고 있어 소비 회복에 긍정적 기여가 제약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주택구매 대기자의 경우 주택 구매자금 저축을 위해 소비를 오히려 축소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중국인 단체관광 재개는 자영업자 등의 사업소득 증가를 통해 가계 소득여건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향후 민간소비는 양호한 고용 여건, 축적된 초과저축 등으로 소비여력이 뒷받침되고 있어 회복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가계부채 수준이 높은 가운데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원리금 상환부담이 늘고 있는데다, 대외여건의 불확실성도 높아 회복 모멘텀은 완만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