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산업의 전후방 연관산업 실태 파악으로 원부자재 국산화율 도모
글로벌 백신 강국의 토대가 될 국가표준이 제정됐다. 팬데믹 이후 연간 10%의 성장이 예상되는 백신산업의 성장 기반을 확립했다는 평가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백신산업의 표준화된 체계 마련을 위해 '백신산업 분류 코드' 국가표준(KS J 1010)을 24일 제정·고시한다고 23일 밝혔다.
국표원 관계자는 "백신산업 국가표준 제정은 지난달 19일 산업부에서 발표한 '바이오경제 2.0 추진 방향' 중 바이오 분야 원부자재 국산화율 제고 정책과제의 후속 조치로 "백신산업 분류 코드 표준화를 통해 백신산업 생태계의 기반을 구축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라고 말했다.
백신산업 국가표준은 백신산업의 정의와 세부 분류체계를 정립했다. 백신산업을 △백신 완제품 △백신 원부자재 △백신 장비 △위탁개발·생산, 보관 수송 등 백신 관련 서비스 등 4개 산업으로 분류했다.
이를 다시 백신 완제품은 플랫폼을, 원부자재 및 장비는 실제 공정을 기준으로 20개 중분류와 57개 소분류로 세분화했다.
팬데믹 이후 백신산업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정부는 국내 백신산업의 육성과 진흥을 위해 백신산업의 분류체계 마련에 착수했다. 기존 바이오산업의 하위 여러 분야에 혼재된 백신산업에 대해 가치 사슬 상의 모든 분야를 포괄하는 새로운 분류체계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3월 백신·치료제 위탁 생산기업 간담회에서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졌으며 이후 4개월간의 표준개발 연구용역과 전문위원회 검토, KS안 마련 등을 거쳐 표준화에 성공했다.
국표원은 이번 표준으로 국내 백신산업과 관련된 기관이 통일되게 사용할 수 있는 분류체계가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특히, 백신산업의 전후방 연관산업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 생산이 가능해져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지원을 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 국표원의 설명이다.
진종욱 국표원장은 "팬데믹 이후 백신산업은 연간 10%의 성장이 전망되는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경제·안보 면에서 중요한 산업으로 부상했다"라며 "이번 표준 제정으로 백신산업의 성장 기반을 확립했고, 앞으로도 지속적인 표준개발로 바이오산업 육성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