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설문조사 내용을 담은 '경제와 일자리를 지키는 RE100, 지역에서 해법을 찾자'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RE100 이행지원을 위한 경기도 역할과 기업의 수요 파악을 위해 지난 1월19일부터 2월28일까지 경기도 소재 RE100 관련 기업(기업활동 때 재생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44개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기업들이 공급망 업체에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하고 나서 국내 부품사의 납품 계약이 무산되는 사례가 발생하는 가운데 기업의 RE100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선도적 역할을 모색하기 위해 이번 조사를 수행했다고 설명했다. 응답 기업 44개 사는 규모별로는 대기업 28개, 중견·중소기업 16개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2.3%인 23개가 고객사로부터 ESG 또는 RE100 요구를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사의 요구사항으로는 온실가스 배출 관련 데이터 제출(40%), RE100 이행 및 증빙(32%), 제품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전 과정(26%), 기타 2% 등의 순이다.
RE100에 대한 준비를 보면 중소·중견기업의 81.3%가 준비 부족(10개)이거나 전혀 준비되지 않았다(3개)고 답했다. 대기업도 64%(18개)가 준비 부족이라고 전했다.
기업들은 RE100 이행의 큰 장벽으로 높은 재생에너지 비용(27%), 정부의 컨설팅 및 인센티브 등 지원 부족(15.9%), 재생에너지 부족(13.5%), 각종 규제와 제도·정책의 불확실성(12.7%) 등을 주로 꼽았다.
가장 시급한 사항으로 재생에너지 물량 확보(23.5%), 재생에너지 투자 및 구매를 위한 추가 재원 확보(21.2%), RE100 이행 수단에 대한 정보(17.6%) 등을 언급했다.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RE100 이행 수단은 직접 전력구매계약(PPA·재생에너지를 발전사업자로부터 직접 구매, 27.5%), 녹색프리미엄(사용 예상 전력만큼 한국전력 에너지마켓플레이스에서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구매하여 사용한 뒤 인증, 26.3%), 자가발전(22.5%) 순이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들의 73%(32개)는 공장을 신축하거나 이전할 때 RE100 이행환경이 입지 선정에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98%(43개)는 RE100 이행에 있어 지자체의 도움이 필요하며, '재생에너지 부지발굴 및 공급'을 가장 중요한 역할로 언급했다. 기업의 79.5%(35개)가 RE100을 위한 기업과 지자체 간 협의체 구성 시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표했다.
연구원은 RE100 기업의 수요에 초점을 맞춘 RE100 특구 조성, 부지발굴 및 제도개선, 기초지자체와의 협력 강화, 펀드 조성, 주민 이익공유형 사업 등 지역 주도 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해 재생에너지 조달 비용을 낮추고, RE100 컨트롤타워를 설치해 재생에너지 공급 규모와 속도를 높일 것을 제안했다.
고재경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연구실장은 "RE100은 온실가스 감축이나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관점에서 벗어나 기업 경쟁력 확보 및 지역 경제를 지키는 전략으로 틀을 전환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면서 "RE100은 민간 주도의 투자를 기반으로 하지만 부지발굴, 주민 수용성, 인허가, 규제와 같은 재생에너지 공급 제약요인을 해소하고 기업의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선도적 역할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