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대표이사 대표 자격 요건 중 '정보통신분야(ICT)의 전문성을 제외했다. 신규 대표이사 후보자의 주주총회 의결을 기존의 보통의결(의결 참여 주식의 50% 이상 찬성)에서 60% 이상 찬성으로 변경했다. KT는 대표 후보군을 확대하고 후보자 선임 정당성 강화 차원이라고 밝혔지만, 정관 변경으로 정부의 입김을 대변해온 국민연금의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ICT 전문성 요건도 빠지면서 친정부 인사를 선임하기 위한 수순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KT 이사회는 9일 이같은 내용의 정관 개정안을 공시하고 30일 서울 KT연구개발센터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신규 사외이사 선임과 정관 개정을 처리하기로 했다. 정관 개정안의 핵심은 현직 최고경영자(CEO)의 연임우선심사 제도를 폐지하고 정관상 대표이사 자격요건을 개선하는 부분이다.
현직 CEO가 연임 의사를 표명할 경우에도 신규 대표이사 선임 프로세스와 동일하게 다른 사내외 후보들과 같이 심사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연임 문턱이 높아졌다. 논란이 되는 부분은 기존 대표이사 자격 요건이었던 ‘ICT 분야 지식과 경험’ 문구가 빠진 것이다. 대표이사 후보자의 자격요건이 △기업경영 전문성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역량 △산업 전문성 등 4가지 항목으로 변경됐다.
KT 관계자는 “‘ICT 전문성’ 삭제된 것이 아니라 ‘산업 전문성’으로 확대된 것”이라며 “KT가 통신, ICT뿐만 아니라 금융, 부동산, 미디어 사업도 전개하기 때문에 그룹 수장의 요건으로 산업 커버리지를 확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월 KT지배구조위원회가 발표한 차기대표 후보 명단에서 낙마한 후보 중 일부는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심사 과정에서 부적격 판정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이 때문에 전문성이 없는 정권 입맛에 맞는 낙하산 인사를 대표로 임명하기 위한 수순이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대표이사 의결 과정에서 주주 영향력도 확대하면서 KT의 최대주주인 국민연금공단, 현대차그룹, 신한은행 등 대주주 입김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KT는 대표이사 후보자에 대한 주주총회 의결 기준을 기존 보통결의(의결 참여 주식의 50% 이상 찬성)에서 60% 이상 찬성으로 상향해 대표이사 후보자의 선임 정당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내부 참호 구축 및 외부 낙하산을 방지하겠다는 계획이다.
사외이사 중심의 이사회 경영 감독 강화 차원에서 기존 사내이사 수를 3인에서 2인으로 축소한다. 기존의 '이사회 선임 대표이사'와 같은 복수 대표이사 제도는 폐지하고 대표이사 1인 중심 경영 체계로 전환한다.
신임 사외이사 후보로 곽우영(前 현대자동차 차량IT개발센터장), 김성철(現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안영균(現 세계회계사연맹IFAC 이사), 윤종수(前 환경부 차관), 이승훈(現 KCGI 글로벌부문 대표 파트너), 조승아(現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 최양희(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다. 소액 주주들의 대표인 배창식 KT소액주주연대 대표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 가운데 윤석열 정부와 맥을 같이하는 MB, 인사들이 선임되며 현 정권 눈치보기 논란도 우려된다. 윤 전 차관은 MB 정부에서, 최양희 전 장관은 박근혜 정부에서 장관을 역임한 인물이다. 이와 함께 KT의 대주주인 현대차 출신 곽우영 전 센터장도 명단에 올라 눈길을 끈다.
KT 새노조는 “사외이사후보 면면을 보면 현 대통령 자문위원회 소속, 박근혜 정부 장관 출신, 대주주인 현대자동차 출신 등이 보이고 정관 상 대표이사 후보자의 자격 요건에서 정보통신 전문성을 산업 전문성 등으로 변경 하는 등 낙하산 CEO를 위한 사전 작업이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KT는 30일 제1차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 신규 사외이사 선임과 정관 개정을 완료할 예정이며, 신임 사외이사로 구성되는 이사회가 중심이 되어 신규 대표이사 선임 절차를 조속히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