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질적 적자에 시달리는 한국전력의 대규모 한전채 발행에 더해 은행채 발행이 증가할 경우 하위등급 크레딧의 구축 효과를 주의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오는 6월 말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 정상화 유예 조치가 종료되면서, 은행권의 고유동성 자산확보를 위한 은행채 발행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20일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전은 올해 들어서도 대규모 발행을 이어가고 있다"며 "금리 인상 종료 및 인하 기대감이 커지는 점이 채권시장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경기 둔화 및 부동산 경기 침체 영향에 따른 디레버리지(부채축소)으로 금융권 자금 수요가 축소되면서, 은행채 등 금융채 발행이 제한돼 수급부담이 크지 않다"는 점을 한전채 물량 소화에 긍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그러나 은행채 발행이 재차 증가할 경우 작년과 마찬가지로 한전채 물량 소화에 영향을 미쳐 약세 발행이 심화하고, 여타 회사채 및 여전채에 구축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은행채는 지난해 10월 이후 △11월(-3조2100억) △12월(-4조7100억) △1월(-4조7100억) △2월(-4조5100억) △3월(-7조4100억) △4월(-3조8400억) 순상환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지난달 16일부터 은행채 발행 한도를 만기도래물량의 125%까지 확대하기로 한 영향으로 발행 확대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규제환경 변화도 은행채 약세 발행을 이끌 요인이다.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 정상화 유예 조치가 6월 말 종료되면서, 은행들의 재원 마련을 위한 은행채 발행이 증가할 수 있다.
공사채 발행도 증가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PF 대주단 협의체 가동 등 부동산 PF 연착륙 대책이 본격화하면 매각·청산대상 사업장에 공여된 브릿지론 매입을 위한 자산관리공사의 1조 원 규모 부실채권(NPL)펀드 조성, 미분양주택 매입을 위한 LH공사의 자금조달 필요성 등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은행채 물량이 한전채 물량과 합쳐질 경우 수급부담이 가중되면서 하위등급 크레딧의 구축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며 "6~7월 중 규제환경 변화 등 수급부담 발생 여부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