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래시장 선도형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에 팔을 걷어 붙인다.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해 올해 관련 연구개발(R&D)에 2조3000억 원을 투자하고, 관련 예산을 지속 확충한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 모두 발언에서 "최근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불확실성'을 국내 소부장 기업 경쟁력 향상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기술·생산·수출 역량 강화를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기계금속, 전기전자, 기초화학, 바이오 등 현 7대 분야, 150대 핵심전략기술에 미래선도 사업인 우주·방산·수소를 추가해 10대 분야 200대 핵심전략기술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소부장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꾀한다는 전략이다.
추 부총리는 또 "소부장 기업 생산역량 제고에도 총력을 다하겠다"며 "소부장 특화단지를 올해 7월 중 추가 지정하고, 법률, 회계 등 투자 관련 자문 서비스를 입주기업에 제공하는 등 소부장 클러스터 활성화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소부장 특화단지는 용인(반도체), 천안(디스플레이), 청주(이차전지), 전주(탄소소재), 창원(정밀기계)에 포진해 있다.
지역별 맞춤형 수출 지원도 강화한다. 추 부총리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를 수출확대 기회로 활용해 국내 이차전지 소재기업의 생산 확대와 북미 밸류체인(공급망) 진출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IRA에서 이자전지 양극활 물질이 ’부품‘에서 제외돼 양극재 기업의 북미 진출 필요성이 낮고,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한 우리로는 국내에서 생산하면 광물 조건 달성에 유리하다는 판단이다.
아울러 친환경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진 유럽연합(EU) 시장 진출을 위해 친환경 정·제련 등 대체공정 기술도 고도화한다고 했다.
추 부총리는 또 "올해 3월 한일 정상회담으로 형성된 양국관계 회복의 계기를 소부장 경쟁력 강화의 또 다른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양국 공동의 이익이 되는 공급망 분야 협력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일본과 주요 글로벌 공급망 이슈에 대한 정보 공유 등을 통해 공동 대응하고, 첨단·초임계 소재 등 신소재를 양국의 산·학·연이 공동개발하는 등 협력 분야를 발굴한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글로벌 소부장 기업을 유치하는 등 양국의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모델도 구축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전기차 모터 등 차세대 산업의 핵심소재로 활용되는 희토류 국제표준화 전략도 논의됐다.
추 부총리는 "희토류는 원소 함량 등을 판단할 표준 물질이나 분석 방법이 부재해 일정한 품질의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는 희토류 함량 비교의 기준이 되는 표준 물질을 정하고 분석 방법도 체계적으로 정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희토류 포함 제품의 성분표기를 명시화해 원활한 재활용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