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년 사이 탄소중립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인식하는 기업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목표관리제 대상기업 1000여 곳 중 4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8.8%가 탄소중립 추진이 기업 경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평가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조사에서는 긍정적 평가가 34.8%에 불과했으나 1년 새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경쟁력 약화 위기’(23.5%) 또는 ‘업종 존속 위기’(7.7%) 등 여전히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기업은 31.2%였다.
정부가 추진 중인 탄소중립 정책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81.5%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최근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 설비투자 지원 확대와 함께 탄소차액계약제도 도입, 제4기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2026∼2030년) 조기 수립 등 기업의 투자 불확실성을 줄이는 정책을 추진한 덕분”이라고 풀이했다.
응답 기업의 66.0%는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탄소 감축 설비 투자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34.0%는 투자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분야(복수응답)로는 에너지효율 개선(68.2%)이 가장 많았고 재생에너지 사용(24.2%), 폐열 회수(18.6%), 연료 전환(11.7%), 공정가스 감축(8.3%), 자원 순환(7.6%), 탄소포집 저장·활용(2.7%) 순이었다.
투자계획이 없다고 답한 기업은 그 이유로 투자자금 조달의 어려움(42.5%)을 가장 많이 꼽았다. 감축수단·기술 부족(33.1%), 배출량 감소로 투자 불필요(11.9%), 배출권 가격 등 투자 인센티브 불확실성(8.8%)이 뒤를 이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감축수단·기술 부족(34.8%)을, 중소·중견기업은 투자자금 조달 어려움(45.3%)을 가장 많이 꼽았다.
기업들은 탄소중립을 위해 시급한 정부 정책과제로 투자자금 지원 확대(33.0%), 제도 개선(24.0%), 감축기술 개발·보급(17.9%), 투자 인센티브 확대(12.8%) 등을 꼽았다.
이지웅 부경대 교수는 “탄소중립 혁신기술은 대부분이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기술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꾸준한 투자가 중요하다”며 “정부가 자금 지원을 통해 기업에 기술 개발을 유도하는 방식과 기후테크 관련 스타트업 등 혁신기술기업을 육성하는 방식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응답 기업들은 유럽연합(EU)이 추진 중인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지원 요청사항으로 제도 설명 및 정보 제공(30.1%), 대응전략 수립 지원(20.6%), 배출량 상호인증 등 부담 최소화 방안 마련(17.8%) 등을 꼽았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국내 기업이 탄소중립을 기회 삼아 도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려는 상황인 만큼 정부는 과감한 자금지원과 인센티브 확대로 우리 기업이 적극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해외에서도 적극적으로 감축할 수 있도록 상쇄배출권 사용 한도를 10%로 확대하는 등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