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20일 라디오 연설을 통해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 복원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함에 따라 인프라 구축 등 국내 자전거산업을 되살리기 위한 논의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KBS 라디오 등 전국으로 생방송된 제13차 라디오 연설을 통해 "자전거는 녹색성장의 동반자로 지금부터라도 자전거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며 "자동차 이용을 줄이고 자전거 이용을 늘리는 방향은 세계적인 추세이자 우리가 또한 가야만 할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지식경제부 등 정부부처와 자전거 업계는 국산 하이브리드 자전거 제품 출시 등 '녹색성장산업'의 하나로 국내 자전거산업을 되살리는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특히 올해 안에 자전거 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 뒤 내년 제품이 나오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예컨대 현재 고급 MTB나 모터 기능이 달린 하이브리드 자전거, IT기술을 접목해 레저용으로 접합한 내비게이션 등의 기능을 가진 자전거, 독일 벤츠사의 자전거처럼 자동차 등 고급 브랜드와 연계된 자전거 등이 지원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 대통령도 이날 라디오연설을 통해 "녹색기술과 결부된 미래형 핵심기술을 개발해 고부가가치 하이브리드 자전거를 생산해 우리도 쓰고 수출도 하면 얼마나 좋겠는냐"고 반문하는 등 자전거산업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자전거 국내 생산기반을 되살린다는 방침이다.
현재 국내 현황을 보면 연간 240만대 가량 되는 자전거시장 가운데 대부분이 국내업체의 해외 현지생산이거나 해외 고급 브랜드 등 수입제품이다. 순수 국내 제작 자전거는 연간 2만여 대에 불과하며, 전문 제조업체와 부품업체 등 관련업체도 20~30여 개에 그치고 있다는 게 지경부의 설명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자전거 국내 생산기반이 무너진 것은 1990년대 이후 인건비 상승 등으로 저부가가치 제품이 판매량의 다수를 차지하는 국내 자전거 시장의 구조로는 이익을 내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중국산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저가품보다는 고부가가치 제품에 중점을 둬 시장확보를 해 나갈 계획이다.
국내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인프라 구축 등도 병행해 나갈 예정이다.
이미 정부는 지난 1월 녹색뉴딜 사업 등을 발표하면서 올해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1조2456억원을 들여 총 3114㎞ 구간의 '자전거도로 네트워크'를 구축키로 했다.
또 행주대교를 시작으로 인천 강화, 전남 목포, 부산 해운데, 경북 포항, 고성 통일전망대를 돌아 행주대교 종점으로 연결되는 자전거 일주망을 건설할 예정이다.
이는 다른 전진국보다 자전거 보급률이나 도로 구축이 한참 뒤떨어져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일본과 독일은 자전거도로가 각각 7만8638㎞, 3만㎞에 자전거 보급률이 67.8%, 87.3%이며 자전거의 교통수단 분담률이 14%, 10%나 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자전거도로는 9170㎞, 보급률은 16.6%, 교통분담률은 1.2%에 불과하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인프라 구축을 통해 전국을 자전거 생활권으로 묶을 계획"이라며 "오는 2012년까지 자전거의 교통수단 분담률을 5%까지 끌어올겠다는 게 정부 목표"라고 말했다.
한편 손해보험업계는 5월 말이나 6월 초부터 자전거를 몰다 사고를 내거나 당했을 때 상해나 사망 등에 보험금을 지급하는 개인용 자전거보험을 판매할 예정이며, 지경부 기술표준원은 최근 전기자전거 활성화를 위해 모터출력 등 안전기준 제정안을 마련해 입안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