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에코텍 재활용률 70%…폐합성수지는 시멘트 대체 연료로 활용
시멘트협회 “연간 450만 톤 폐기물 매립 막고 온실가스 배출 감축”
강원도 내 생활폐기물 전처리 중소기업과 시멘트 업체에 전국 지자체 관계자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오는 2026년 쓰레기 직매립 금지를 앞두고 관련 설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돼서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HL에코텍은 동해시가 2018년 환경부 시범 공모사업인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 사업에 선정된 뒤 전처리시설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해당 지역 내 발생한 생활폐기물의 전처리 작업을 HL에코텍이 맡고 있다. 생활폐기물 전처리는 종량제봉투에 담긴 쓰레기를 땅속에 매립하지 않고, 선별·파쇄 과정을 거쳐 가연성폐기물(폐합성수지)로 재활용하는 작업이다. HL에코텍의 전처리시설 규모는 하루 130톤이다. 2020년 9월부터 2021년 4월까지 동해시의 폐기물 매립은 32%에 그쳤다.
특히 재활용된 폐플라스틱과 폐비닐 등은 시멘트 업체인 쌍용C&E 동해 공장으로 옮겨진다. 통상 시멘트 업계는 시멘트 생산 시 소성로에서 높은 온도를 내기 위해 유연탄을 연료로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폐플라스틱 등 대체연료의 비중을 늘리고 있다. 폐합성수지를 대체연료로 사용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낮추고, 동시에 전량 수입하는 유연탄에 대한 의존도도 줄일 수 있다.
강원도 삼척에선 삼표시멘트가 20억 원을 들여 생활폐기물 연료화 전처리시설 설비를 갖춘 뒤 이를 시에 기부채납했다. 삼척시가 전처리시설로 생활폐기물을 처리하면서 2020년 기준 연간 1만773톤이 매립되던 생활폐기물은 2079톤으로 81% 감소했다. 삼표시멘트 관계자는 “최근 생활폐기물 직매립 문제 해결 사례로 벤치마킹하기 위해 견학 오는 지자체들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지자체들이 잇따라 강원도 내 관련 시설을 방문하는 것은 전처리시설에 대한 운영 전 과정을 학습하고, 이를 해당 지역 여건에 맞게 적용하기 위해서다. 정부가 오는 2026년부터 수도권, 2030년부터는 전국에서 쓰레기 직매립을 전면 금지하기로 하면서 지자체들이 소각장 건립을 추진했지만 주민들의 반발에 막히자 전처리 시설이 대안책으로 급부상 하고 있다.
한국시멘트협회는 생활폐기물 직매립 대안으로 ‘전처리-시멘트 공장’ 과정을 활용하면 연간 450만 톤의 가연성폐기물을 매립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종량제봉투로 배출되는 생활폐기물의 약 40%가 폐플라스틱, 폐비닐 등 가연성폐기물이어서 이를 전처리-시멘트 과정으로 처리하면 소각·매립량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업계에선 한계점이 적지 않다고 지적한다. 지자체나 중소기업이 전처리시설을 짓기 위해선 이해관계자들의 동의가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폐기물 이동에 대한 주민 반대와 소각로 업계 반발 등 여러 난제를 풀어야 한다.
전처리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각 지역에 전처리시설을 지으려고 해도 폐기물 처리업체라는 인식 탓에 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발이 여전하다”며 “만약 타지로 폐기물을 이동시킨다면 일부 지역 주민의 부정적 시선을 설득해야 하는 과정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