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40대만 고용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확산하고 고금리·고물가 등으로 일부 산업에서 구조조정 바람이 불면서 '40대 가장' 일자리가 더 위협받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바탕으로 최근 5년간(2017~2022년) 세대별 고용지표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 세대 중 유일하게 40대만 고용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5년간 고용률은 △60세 이상(4.6%p↑) △15~29세(4.5%p↑) △30~39세(2.0%p↑) △50~59세(1.8%p↑) 순으로 증가했다. 반면 40~49세는 1.3%포인트(p)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경련은 “5년간 전체 취업자 수가 136.4만 명 늘어나는 동안 40대 취업자 수는 46.9만 명 줄었다”며 “40대 인구 중 절반 이상(56.0%)은 가정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가장으로 이들의 일자리 위협은 가계소득 감소, 소비지출 위축, 내수 악화 등 악순환을 야기해 국가 경제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5년간 업종별 40대 취업자 변화를 살펴보면 △도소매업(-21.2만 명) △제조업(-10.4만 명) △숙박 및 음식업(-9.3만 명) △교육서비스업(-8.2만 명) △건설업(-7.4만 명) 등의 순으로 40대 취업자가 감소했다.
전경련은 “최저임금 급등 및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인해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교육서비스업 등이 타격을 받았다”며 “제조업 부진·공장자동화 및 일자리 해외 유출 등으로 제조 일자리가 줄어들었고 코로나 확산과 원자재 가격 및 금리 급등 등으로 인해 건설 경기가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2021년 기준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77.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평균인 82.5%보다 5.2%p 낮았다. 순위는 31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일본(86.5%), 독일(86.3%), 영국(84.8%), 프랑스(84.2%) 등 주요 해외 국가들보다도 낮은 수준이었다.
지난 5년간(2016~2021년) 추이를 살펴보면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감소 추세(-2.0%p)를 보였다. 콜롬비아(-6.5%p), 아이슬란드(-5.7%p), 칠레(-4.4%p), 에스토니아(-2.4%p)에 이어 OECD 38개국 중 5번째로 감소 폭이 컸다.
지난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수는 17만7000명으로, 40대 전체 퇴직자(38만8000명)의 45.6%에 달했다. 비자발적 퇴직자란 휴·폐업, 명예·조기퇴직·정리해고, 임시, 계절적 일의 완료, 사업 부진 등의 사유로 퇴직한 자를 의미한다.
최근 5년간 추이를 살펴보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수는 2017년 16만7000명에서 지난해 17만7000명으로 6.0% 증가했다. 전체 퇴직자 중 비자발적 퇴직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38.5%에서 45.6%로 7.1%p 늘었다.
전경련은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수가 코로나19 본격 확산 시기인 2020년 26만6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접어들긴 했다”면서도 “최근 경기둔화, 불안정한 대내외 여건으로 기업들이 잇단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일자리를 잃은 40대 가장들이 다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올해 금융, 건설,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구조조정 바람이 불면서 40대 중장년층의 일자리가 더욱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기업들이 일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세제 지원 강화, 규제 완화 등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을 지속해서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