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기획으로 이주노동자 삶을 조망한다고 했을 때 고개를 갸웃거렸다. 임금체불을 겪고, 컨테이너처럼 열악한 환경에 놓인 이주노동자는 옛날이야기로 생각했다. 하지만 본지 신년기획팀 취재 결과물은 지금도 한국사회가 이주노동자를 포용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드러냈다. 10편에 걸쳐 ‘이(웃)주(민) 노동자’라는 이름으로 내보낸 기사는 한국 사회가 맞닥뜨린 이주 노동자의 두 얼굴을 있는 그대로 전달했다.
이주민은 우리 사회와 산업 현장이 주문하는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며 이 땅에 살아가고 있지만 주변인에 머물고 있다. 다문화 사회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는 당위처럼 거센 내국인 저항도 존재한다. 지역 안전은 물론 이주민 정치개입, 내국일 일자리 침탈 등 여러 사안에서 불안과 불신이 팽배한 상황. 이주민을 수용하지 않고는 인구 감소로 인한 사회 전반의 문제를 해결할 뾰족한 대안이 없지만 거부감은 크다. 지난해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에 따르면 성인의 다문화수용성은 52.27점에 머물렀다. 2018년(52.81점)보다도 낮은 수치다.
이주민이 '좋은 이웃'이 되려면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면서 한 발짝 양보하는 것이 첫 번째 순서다. 외국인 범죄비율은 국내에서 벌어지는 전체 범죄에 비하면 3%에 못 미치고, 많은 이주민이 한국 문화를 수용하려는 개방성을 갖추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그들을 바라보는 선입견을 먼저 거둬야 한다. 이주민 역시 자국 문화만큼 한국의 법과 제도, 역사를 존중해야 다문화 사회를 기초를 그릴 수 있다. 서로를 존중해야 경계가 허물어진다.
최근 만났던 대형 로펌 관계자는 운전하다 이주노동자가 길을 걸어가고 있으면 뒷좌석에 태워준다고 한다. 대학생 때 워킹홀리데이를 떠난 해외에서 인종 차별과 핍박 등을 당했지만 중국 교포가 내민 손길을 지금도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결국 변화에 따른 혼란과 갈등을 이겨내는 힘은 존중과 연대에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