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벽두부터 지구촌 덮치는 최신 변이의 위력…‘마스크프리’ 변수될까 [이슈크래커]

입력 2023-01-03 15: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달 13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입국장에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확산 중인 코로나19 신종 변이 ‘XBB.1.5’는 면역 회피력이 높아 전파력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뉴시스)
▲지난달 13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입국장에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확산 중인 코로나19 신종 변이 ‘XBB.1.5’는 면역 회피력이 높아 전파력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뉴시스)

미국에서 새로운 오미크론 하위 변이 XBB.1.5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한국도 이미 뚫린 상황. 여기에 중국에서도 확진자가 폭증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실내 의무 마스크 착용 해제 시기를 미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백신도 안 듣는 ‘최악 변이’, 미국 덮쳤다

미국에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코로나19 XBB.1.5 변이는 국내에도 이미 유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은 2일 “XBB.1.5가 지난해 12월 8일 국내에서 처음 확인됐다”라며 “지금까지 국내 6건, 해외 유입 7건 등 총 13건이 확인됐다”라고 밝혔다.

재조합 변이바이러스인 XBB는 지난해 10월 초 국내에 유입된 사실이 알려졌으나 XBB.1.5의 경우 XBB 하위변이여서 통계에 별도로 집계되지 않았었다.

XBB.1.5는 오미크론의 최신 하위변이 중 하나로, 더 높은 면역 회피력을 무기로 최근 미국에서 급속히 퍼지고 있다.

지난달 31일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XBB.1.5 감염에 의한 발병률이 최근 1주일 새 약 2배 증가했다. XBB.1.5 변이 검출률은 41%가량으로 곧 우세종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컬럼비아대학교 연구진이 최근 XBB 하위변이가 코로나19 치료제인 이부실드 뿐 아니라 개량 백신에 대한 저항력까지 갖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우려가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기준 우리나라에서 검출되는 변이의 62.0%는 BA.5 세부계통으로 이중 BA.5는 46.1%, BQ.1은 7.2%, BQ.1.은 5.0%다.

그 외에는 BA.2.75가 7.9%, BA.2.75의 하위변이인 BN.1이 24.4%를 차지하고 있다. 이외에 XBB.1.5를 포함한 하위 변이는 5.7%다.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론’을 놓고 여당 내 입장이 엇갈리고 있는 5일 서울의 한 쇼핑몰에 마스크를 착용 안내문이 붙어있다. 이날 여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출신 대전시장과 충청남도지사에 이어 여당 전(前) 원내대표도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를 주장하는 반면 다른 지도부와 코로나 대책 수장은 섣부른 해제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뉴시스)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론’을 놓고 여당 내 입장이 엇갈리고 있는 5일 서울의 한 쇼핑몰에 마스크를 착용 안내문이 붙어있다. 이날 여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출신 대전시장과 충청남도지사에 이어 여당 전(前) 원내대표도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를 주장하는 반면 다른 지도부와 코로나 대책 수장은 섣부른 해제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뉴시스)

오미크론 변이, 면역 회피력 강한 XBB.1.5로 진화

두 달여 전부터 미국과 유럽에서 유행 중인 BQ.1.1과 XBB는 전파력과 면역회피력이 이전 변이보다 더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진화하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에서 XBB.1.5가 빠르게 확산 중이다. 특히 뉴욕의 경우 최근 확진자의 40%가 해당 변이에 감염됐다.

베이징대 카오원룽 박사는 “XBB.1.5는 가장 전염력이 빠르고 면역회피력이 강한 변이 중 하나”라며 “곧 전 세계에서 우세종이 될 가능성이 크다”라고 전망했다.

XBB.1.5는 오미크론의 하위변이 XBB에서 파생됐다. 대표적인 오미크론 하위변이인 XBB는 올해 8월 인도에서 처음 발견된 뒤 싱가포르로 퍼졌다.

이후 싱가포르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전달 대비 약 3배 증가할 정도로 강한 전파력이 확인됐다.

XBB는 XBB.1, XBB.1.5 등 하위변이로 바뀌었고, 이들 중 미국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확산세를 보이는 게 XBB.1.5이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의 바이러스 학자인 앤드루 페코스는 “XBB.1.5의 경우 다른 변위에 비해 스파이크(돌기)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많아 면역 회피력이 특히 더 높다”라고 분석했다.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세포에 침투해 감염을 일으키며 백신이 스파이크 단백질의 특색에 맞춰 개발되기에 스파이크 단백질이 많이 변할수록 백신이 무력해질 수 있다.

이들 XBB 하위 변이로 인해 내년에도 각국이 감염자 확산에 시달릴 수 있는 경고가 커지고 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YTN사이언스 인터뷰에서 인적교류가 많은 우리나라에선 신종변이의 유입을 막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YTN사이언스 유튜브 캡처)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YTN사이언스 인터뷰에서 인적교류가 많은 우리나라에선 신종변이의 유입을 막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YTN사이언스 유튜브 캡처)

실내 마스크 해제 늦춰지나…“내년 봄 적당” vs “논의 자체가 시기상조”

현재 우리나라는 실내에서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그러나 지난해 실외 마스크 의무 착용을 해제한 후 실내에서도 마스크 없이 활동해도 될 것이란 주장과 아직 이르다는 의견의 팽팽하다.

감염병 전문가인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지난해 9월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실내마스크 의무 해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강조하며 그 시기를 올해 봄으로 언급했다. 정 위원장은 “유럽에 가보니 실내에서 호흡기내과 의사들도 마스크를 쓰지 않고 있더라”라며 “한국도 마스크를 벗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으며 그 시기가 내년(2023년) 봄이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정부와 여당도 실내에서도 ‘마스크 프리’를 시작하기 위해 상황을 살피고 있다. 하지만 겨울철 확진자 증가와 중국의 ‘제로 코로나’ 폐지 등이 걸림돌이었다.

게다가 면역 회피력이 특히 높은 XBB.1.5 신종 변이까지 출현하면서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방역당국은 실내 마스크 의무 조치를 2단계에 걸쳐 완화할 방침이지만, 구체적인 시행 시점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정도를 보고 결정한다는 설명이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최근 YTN사이언스 인터뷰에서 “2~3달 사이에 큰 유행이 발생하면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가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변이 예를 들면 파이 변이 같이 오미크론 다음으로 완전히 새로운 변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라며 “그렇게 되면 인적 교류가 많은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유입을 막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아주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그런 유행과 유입을 막기 위해서라도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라든지 격리 기간을 줄이는 문제는 조금 더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불 꺼진 복도 따라 ‘16인실’ 입원병동…우즈베크 부하라 시립병원 [가보니]
  • “과립·멸균 생산, 독보적 노하우”...‘단백질 1등’ 만든 일동후디스 춘천공장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272,000
    • +3.23%
    • 이더리움
    • 4,390,000
    • -1.01%
    • 비트코인 캐시
    • 598,500
    • +0.84%
    • 리플
    • 805
    • -0.49%
    • 솔라나
    • 290,500
    • +1.47%
    • 에이다
    • 802
    • +0.12%
    • 이오스
    • 778
    • +6.72%
    • 트론
    • 230
    • +0.88%
    • 스텔라루멘
    • 151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2,050
    • -0.36%
    • 체인링크
    • 19,300
    • -3.79%
    • 샌드박스
    • 404
    • +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