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들 간에 향후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입장이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창용 총재가 11월 금통위 기자회견에서 공개한 금통위원별 최종금리 수준 “3.25% 1명, 3.50% 3명, 3.75% 2명”과도 궤를 같이한다.
17일 이투데이가 최근 공개된 한은 11월 금통위 의사록을 분석한 결과 주상영 위원은 가장 비둘기파(통화완화파)인 반면, 조윤제 위원은 가장 매파(통화긴축파)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따라 최종금리 수준에 대한 의견도 주 위원은 현 기준금리 수준인 3.25%를, 조윤제 위원은 3.75%를 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조윤제 추정 위원은 “물가상승세가 다소 완화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의 기대인플레이션과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대로 빠르게 근접해 나갈 수 있도록 통화정책의 긴축기조를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향후에도 당분간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나가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상의 폭과 속도는 경기 및 물가 동향, 금융시장 상황, 주요국의 통화정책, 그리고 그동안 추진해온 금리인상의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영경 위원과 한은 집행부를 대변하는 이승헌 부총재도 매파로 보인다. 서영경 추정 위원은 “근원물가 중심의 수요측 요인에 의해 상승하고 있는 점은 정책대응을 늦추지 말아야 함을 시사한다”며 “성장세가 다소 약화되고 있지만 기준금리를 긴축적 수준으로 운용하여 고물가 고착화 가능성을 방지함으로써 중장기 경제안정을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물가경로에 많은 불확실성이 있고 미 연준 금리인상 속도에 따라 외환시장 불안이 재개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당분간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승헌 부총재도 “앞으로도 물가 오름세의 기조적 둔화를 확인하기 이전에는 여전히 물가안정에 우선순위를 두고 통화정책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다만 “내년중 상고하저의 물가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전기·가스요금 제외 근원물가가 하반기 이후 2%대로 하락할 것이라는 현재의 전망이 유지된다면 국내외 경기추이와 금융안정 상황을 점검하면서 금리인상의 폭과 속도를 줄여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부연했다.
반면, 주상영 추정 위원은 “여전히 목표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인플레이션을 중시하여 내린 결론이지만 물가상승랍력의 확대를 경계할 단계는 지났다”며 “실질소득과 구매력의 둔화가 본격화되고 있는 데다 금융불안의 전개양상 및 그 파급효과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향후 기준금리의 추가 이상에 대해서는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신성환 위원 역시 비둘기파쪽에 가까웠다. 신성환 추정 위원은 “금융시장 안정과 물가안정 간의 상충 정도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심각하다”며 “빠른 속도의 금리인상이 금융시스템 전반의 취약성을 자극할 우려가 있어 과잉긴축의 위험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대내외 여건에 따라 외환유출 가능성이 상존하는 개방경제로서 국내 금융안정 이슈로 인하여 긴축 여력이 소진되면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며 “향후에는 그간의 통화정책 파급효과를 점검하는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 요인들의 전개 앙샹 등을 살펴보면서 신중히 긴축 속도를 결정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박기영 위원은 중립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는 통화정책 기조의 방향성과 관련해서는 물가를, 인상폭과 관련해서는 금융안정을 강조했다. 박기영 추정 위원은 “향후 기준금리 결정시 물가와 관련해서 추가적으로 고려할 점은 파급시차, 디스인플레이션 속도, 그리고 내년 경기”라며 “지금보다 실물경제와 금융안정 부문에 대한 가중치를 높이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또 금융안정 측면에서는 “현 시점 시장이 감내할 수준인지 확인해가면서 긴축기조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