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1년 국정기조·핵심 의제 가늠…국민들도 관심
"그동안 언급하지 않은 새로운 단어 던질 가능성 커"
"고강도 경제 위기 상황에선 가장 주요 현안 언급할수도"
역대 대통령 첫 신년 연설 키워드는…'개헌'·'통일'·'위기'
윤석열 대통령의 2023년 새해 국정연설이 약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내년 국정 운영방향을 가늠할 '키워드'로 어떤 주제가 제시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새해 연설은 3·1절, 광복절 경축사만큼 대통령실에서 역점을 두는 이벤트일 뿐 아니라 국민들도 관심이 많다. 신년 연설에서 대통령의 입에서 나오는 키워드가 향후 1년의 국정기조, 핵심 의제 및 전략 등을 가늠할 수 있어서다.
6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대통령 새해 연설은 통상 3개월 전부터 준비한다고 한다. 과거 청와대 연설기록비서관실에서 근무했던 한 인사는 이투데이와 통화에서 "우선 대통령실 각 수석실에서 향후 1년의 국정기조와 핵심전략에 어떤 내용을 담아야할 지 논의를 하면 이를 기반으로 총리실에서도 초안을 작성한다"며 "양쪽에서 취합한 내용을 토대로 연설비서관실이 초안을 작성하고 추후 비서실장과 주요 수석비서관이 최종적으로 논의해 만들어진 연설문 초안을 대통령께 보고드린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설문 초안을 받아들일지 여부는 대통령의 마음이며, 연설 직전까지 어떤 키워드를 쓸지 역시 대통령만 알 수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은 새해 연설 내용 구성을 위해 공식 라인(수석, 총리) 외에도 학계, 언론계 등 권위자들에게 자문을 구한다"며 "결국 대통령만이 모든 자료를 보고 할 수 있는 구조다. 최종 연설 내용이 막판에 연설기록비서관(현 국정메시지비서관)실에 넘어와야 가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신년 연설에서 그동안 언급하지 않은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가능성도 있다. 그동안 윤 대통령은 취임식부터 줄곧 '자유'라는 단어를 상당히 많이 언급했다. 지난 5월10일 취임식에선 자유를 무려 35번 외쳤다. 청와대에서 국정기록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한 인사는 기자와 만나 "연말 비공개 석상에서 수시로 나오는 용어, 정책들을 살펴봐야 한다"며 "신년 국정연설엔 그동안 언급하지 않은 새로운 단어를 던질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IMF 외환 위기 같은 고강도 경제 위기가 도처에 도사리고 있는 엄중한 상황에서는 현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를 그대로 언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요새 공식, 비공식 석상에서 가장 많이 말씀하는 것이 '국가가 먹고 사는 것은 수출이다, 전 고위공직자들이 세일즈맨이 돼야 한다'는 내용"이라며 "또 화물연대 문제로 불법 행위에 대한 국가원칙에 대한 말씀을 상당히 많이 하신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 역시 "내년에도 경제 상황이 최악이 아니겠냐. 무엇보다도 경제 관련 내용이 핵심이 될 것 같다"며 "또 화물연대 파업 형국 정리, 전당대회라는 큰 과제와 이벤트도 있어 이 역시 관련이 있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역대 대통령들의 첫 신년 연설 키워드를 살펴봐도 당시 중요했던 이슈와 연관된 키워드들이 제시됐다. 2018년 1월 10일 첫 신년 기자회견을 했던 문재인 전 대통령의 연설 키워드는 '개헌'으로 총 7회 언급했다. 당시 "지방선거와 개헌 국민투표 동시 실시는 국민과의 약속이다. 국민개헌안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4년 1월 6일 신년기자 회견에서 첫 새해 연설에 나섰으며 그 자리에서 "통일은 대박"이라고 발언해 통일 대박론이 이슈로 떠오르기도 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9년 1월2일 첫 새해 연설에서 '위기'라는 단어를 무려 23차례 사용했다. 당시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전 세계가 어려움을 겪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