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더불어민주당 민생경제위기대책위원회는 '2금융권 유동성 위기 경고음'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는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민생경제위기대책위원회장,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 고선영 금융위원회 중소금융과 과장, 백승범 여신금융협회 부장, 이재선 한국대부금융협회 전무가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국내외에서 복합위기로 인해 정부와 한국은행이 최근 유동성 확대 조치를 시행했지만, 제2금융권 회사들의 유동성 위기, 건전성 악화 우려 등 시장 불안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태년 의원은 "지난해부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부동산 열기 침체로 미분양이 속출되면서 기업 채무 상환 능력이 어려워지고 내년은 더 부실화될 가능성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4분기 미분양이 작년대비 20% 이상 늘었다"면서 "캐피탈, 저축은행 등 제 2금융권 돈줄 막히는건 시간문제"라고 덧붙였다.
지난 28일 정부는 자금 시장 경색 완화를 위해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5조 원 규모의 2차 캐피털콜(펀드 자금 요청)을 진행해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를 가동한다고 발표했다. 정부가 추가 유동성 공급을 결정한 것은 지난달 '50조+α' 규모의 유동성 공급대책에도 불구하고 단기자금시장 '가뭄'이 완벽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2금융권은 정부 대책에 기대감을 드러내면서도 여전히 불안요소가 있다고 판단했다.
백승범 여신금융협회 부장은 "여신전문회사들은 채권으로 자금조달을 하고 있는데 경제상황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는다"면서 "자금확보가 가장 중요한데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여전사는 선제적으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대출을 추가로 확충하고 단기수익성 확보를 위한 영업은 막고 있다"면서 "채안펀드에서 여전채를 일정부분 매입을 해주는 등 자금시장 경색 해소를 위해 정부가 시장안정조치를 취한 만큼 자금경색이 차츰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여전사들은 자금 조달 창구인 여전채 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유동성 위기 상황에 빠졌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제로금리였던 여전채는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현재 5~6%까지 올라간 상황이다.
가장 어려운 계층이 이용하는 대부업도 상황이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2018년과 2021년 법적금리가 24%, 20%로 차례로 내려가면서 업황이 좋지 않다.
이재선 대부금융협회 전무는 "2002년도부터 영업을 시작한 대부업체는 매년 등록 숫자가 증가해 2009년도까지 1만9000개 였다가 점점 감소해 현재는 8000여 개까지 줄었다"고 설명했다. 18조 원이었던 대출잔액도 작년 14조 원으로 축소됐다. 220만 명에 달하던 이용자 수도 지난해 110만 명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이 전무는 "최근 집값이 하락하면서 부동산 담보대출도 올스톱 됐다"면서 "신용대출, 부동산 대출 모두 사실상 영업정지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객의 90% 이상이 신용점수 600점 이하의 취약계층인데 이들이 돈을 빌릴 곳이 없어져 사채 시장으로 내몰리고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당국은 2금융권 유동성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고선영 금융위 중소기업 사무관은 "금리상승은 모든 업권에 다 영향을 미치는데 저축은행, 여전사, 대부업체 등은 취약차주 위주로 대출이 이뤄지기 때문에 취약차주 부실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여전사의 경우 부동산 대출이 증가했기 때문에 최근 부동산 가격 하락과 맞물려 모니터링을 상세히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여전채 금리 인상으로 인한 유동성 위기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고 사무관은 "여전사 유동성 관리를 위해 금리가 오르는 시점부터 업체들과 간담회, 1대1 면담을 통해 계속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단기 자금 경색으로 여전채 발행이 어려웠는데 10월부터 채안펀드 가동하면서 어느 정도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