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이 해묵은 숙제들을 하나씩 해치우고 있다. 20년 넘게 모든 정권의 골칫거리였던 대우조선해양은 새 주인을 찾았으며, 6년째 표류 중인 HMM 민영화도 시동을 걸었다. '매각 5수생' KDB생명의 지분 매각 절차도 시작했다.
혹자는 정치인 출신인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이 가진 강한 추진력이 힘을 발휘한 결과라고 평가한다. 지난 6월 취임한 이후 핵심 선결 과제로 ‘대우조선 매각’을 내세운 뒤 3개월 여 만에 내놓은 성과임을 감안하면 그리 틀린 말은 아니다. 매각 과정에 불거진 '헐값 매각' 논란이나 특정 기업에 대한 ‘특혜’라는 지적은 일단 제쳐 두고서라도, 단순히 속도만을 놓고 봤을 때는 충분히 주목 받을 만하다.
그런데 이 강한 추진력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문제 말이다. 설마 했던 산업은행 부산 이전이 시나브로 진행되더니, 부산 이전을 위한 조직개편안까지 단행된다고 한다. 속도에만 신경 쓰다 보니 '꼼수'가 난무한다.
최근 유출된 이사회 문건을 보면 산업은행은 현행 중소중견금융부문을 지역성장부문으로 바꾸고 산하에 동남권투자금융센터를 신설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서 운영 중인 해양산업금융실은 기존 1실 체제에서 2실 체제로 확대하고 조선사 여신 등 해양산업 관련 영업자산을 이관한다고 한다.
산업은행은 이같은 조직개편을 통해 동남권 영업조직을 키우겠다는 계획이나 노조에서는 부산 이전을 위한 사전 작업이라고 주장한다. 부산 이전을 위한 법 개정 작업이 지연되자 '꼼수'로 부산 이전을 위한 사전 작업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당연히 노조는 반발하고 있다. 노조의 반발에도 산업은행은 다음 단계를 준비하고 있다.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인사 이동을 실시해 부문장 등 100여 명을 추려 해당 지역에 배치할 것으로 전해진 것이다. 본점 해양금융 조직과 해운 관련 여신을 취급하는 서울 종로·여의도 지점 업무 담당자 등을 포함한 대규모 이동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본점 기능의 이전이 시작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아직 이사회에서 관련 계획이 통과되지도 않았지만 산업은행은 벌써 아파트 십 수채와 오피스텔 수 십 채를 매입 또는 임차할 계획도 세웠다고 한다.
산업은행 부산 이전 작업이 착착 진행되고 있지만, 앞서 강 회장이 언급했던 산은의 부산 이전 필요성에 대한 설득 과정은 온데 간데 없이 사라졌다. 직원들에 대한 설득은 물론 국회 설득에도 큰 관심이 없는 모습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설득을 안하는 것이 아니라 못하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전을 주장하는 측에서도 사실 명쾌한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 앞서 지방으로 이전한 주택금융공사, 예탁결제원, 캠코 등 많은 금융공기업들의 사례만 봐도 금융기관의 지방 이전이 실리적인 측면에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어느 정도 증명이 됐다.
무엇보다 애초에 금융사업을 서울에 모았던 이유가 있다. 금융산업의 특성상 인적·물적 네트워크와 집적효과가 경쟁력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부산에 금융기관을 모아 금융허브를 조성한다는 계획이지만 국책은행 하나 옮겨간다고 금융 비즈니스 생태계가 조성되지는 않는다. 정치 논리로 움직이고 있는 현 상황을 고려하면 부산으로 다른 국책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옮겨지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벌써 지방 자치단체들은 부산이 산업은행을 차지했으니 수출은행이나 기업은행은 우리 차지라고 공공연하게 말하고 있다.
그간 시장에서는 입이 아프게 말해왔다. 경제 문제에 정치 논리를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진료는 의사에게, 약은 약사에게’처럼 경제는 경제 논리대로 풀게 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