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7일 임명됐다. 그는 취임사에서 국가교육책임제 강화 등을 핵심적으로 추진할 정책 과제로 제시했다.
윤석열 정부도 110대 국정과제를 통해 “국가교육책임제 강화로 교육격차를 해소하겠다(국정과제 84번)”고 밝혔다.
학력 격차 등 교육격차 해소는 이 부총리가 가장 역점을 기울일 정책 과제로 꼽힌다.
장관에서 물러난 후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학생 개별 맞춤 교육을 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부총리는 교육에서 자율과 경쟁을 중시하며, 우수한 학생들의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는 수월성 교육을 지향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이명박 정부 시절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설립, 학업성취도평가 전수 실시(일제고사), 교원평가 등 민감하면서도 굵직한 정책들을 주도했다.
인사청문회서도 이 부총리의 이 같은 교육철학은 도마 위에 오른 바 있다.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주호 당시 장관은 아이들을 줄 세우기, 경쟁교육으로 내몰았던 장본인으로 평가한다”고 지적했다.
경쟁과 자율을 강조하는 이 부총리가 다시금 교육수장에 앉았다. 그리고 이제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인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과제를 떠안았다.
경쟁을 중시해왔던 이 부총리의 교육철학 코드가 교육격차 해소에 적합할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다.
물론 이 부총리가 과거 몸담았던 아시아교육협회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격차 해소 활동을 해 왔던 부분을 상기하면 이 같은 걱정이 과한 것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에듀테크 업체 관계자들의 후원이 있었던 점이 알려져 부총리와의 이해충돌 논란이 일었다.
이 부총리의 교육철학에 대한 진짜 검증의 시간은 지금부터다.
국민들은 앞으로 논란이 됐던 이부총리의 에듀테크 교육 정책을 더욱 눈여겨 감시할 것이다. 이 부총리가 그가 중시해오던 경쟁과 자율 중심의 교육철학으로 어떻게 벌어진 교육격차를 해소하는지도 지켜볼 사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