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현로] 지질하고 속좁은 말들

입력 2022-10-18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근행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장

말이 어지럽다. 오가는 말인데 무슨 소린지 알아듣기 어려운 말들이 많다. 한쪽에선 들리는 말을 해놓고 그런 말 안 했다, 그렇게 들으면 불순한 거라며 거짓말과 권위로 말을 덮으려 한다. 말과 글이 사람들의 생각과 마음을 움직이며, 세상을 살아가는 마음가짐과 행동이 말과 글로 나타난다. 우리는 이미 전 세계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아름답고 표현이 풍부한 말과 글을 만들고 써왔는데 왜 이리 지질하고 속 좁은 말들만 난무하는가. 자유니 번영이니, 민간 주도 고도화니 그럴듯한 말로 포장을 해보지만 먹히지 않는다. 그럴듯한 말이란 생명세상을 살리겠다는 큰 뜻이 마음가짐과 행동으로 이어질 때 받아들여지는 법이다. 세상과 사회가 아니라 ‘패밀리 비즈니스’만 살리면 된다는 속내가 훤히 드러나니 지질하고 속 좁다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사회적 용어라며 쓰이는 말에도 지질함이 묻어있는 말들이 많다. 시대상황을 거치며 전문가와 기술관료 패밀리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활용해온 말들이 있다. 법조용어가 대표적이다. 굳이 알아먹기 힘든 말글을 고수하는 까닭은 소통하기보다는 군림하려는 기득권 유지 속내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말들이 보잘것없고 변변치 못한 이유는 온전히 소통하지 못하고 진실을 가리기 때문이다.

많은 용어들은 제도화하여 본질을 왜곡하거나 책임을 회피하기도 한다. ‘신재생에너지’라는 한국식 표현이 그러하다. 기후위기로 에너지 전환이 진행되며 검증한 재생가능에너지는 태양의 빛과 열, 바람과 물의 흐름, 지열과 바이오매스 등 지구 행성의 진화로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말하는데, 한국은 화석연료를 변형한 신에너지나 폐기물로부터 얻는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라며 신재생에너지로 분류한다. 급기야 원자력발전을 녹색 에너지라 주장한다. 우리가 그렇게 선언하고 안전에 연연하지 않는 기술관료 정신으로 생산에 매진하면 RE100(재생에너지 100%)으로 인정해준단 말인가. 식량위기 시대에 정부는 떨어지는 자급률의 수치를 자조율(해외 식량기지를 확보해 국내로 조달 수급할 수 있는 곡물까지 포함한)이라는 말로 올려보려 하기도 했다.

▲일러스트=신미영 기자 win8226@
▲일러스트=신미영 기자 win8226@

최근 쌀 생산과 소비가 불균형해 시장격리를 해야 한다는 논쟁이 한창이다. ‘쌀을 격리’한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사회적 격리를 하더니 쌀을 시장에서 격리한다니 무슨 일인가? 쌀 시장격리라는 말에도 본질보다는 닥친 문제만 해결하고 보자는 책임회피와 한반도 농업에 대한 안목 없음이 드러난다. 논농지가 줄어드는데도 국내 소비가 줄어 쌀값이 떨어지고 재고관리 비용이 문제라면 오히려 전환의 기회로 삼아 생산은 더욱 안정되고 건강하게 유기재배 확대와 탄소저감 농업으로 전환하고, 소비는 식생활 개선과 가공 확대, 북한과 국제 기아 해소 원조 확대 등으로 나아갈 수 있다. 문제의 본질을 드러내어 사회적 설득력을 얻고 식량주권을 확대해 갈 수 있는 기회를 시장격리라는 어색한 말로 눈가림하고 있다.

친환경농업이라는 말도 보편적이지 않은 한국식 표현이다. 증산을 위해 농약과 비료에 찌든 농산물과 땅을 건강하게 회복하려는 유기농운동을 제도화하며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와 육성정책이란 개혁을 이루었다. 하지만 개혁은 지속되지 못했고, 생산과 소비가 상품으로만 관리되는 어정쩡한 친환경농산물에 머물러 있다. 유기농업을 실천하는 농민과 이를 지지하는 소비자의 주체적 관계는 회복되지 못하고, 위임된 제도와 시장의 대상인 상품의 이해관계로 관리된다.

주권자에게 지질한 말의 대표는 근로자라는 표현이다. 그나마 깨어있는 시민들의 실천으로 노동자라는 역사적 계급성과 사회적 정체성을 담은 말을 세우기 위해 여전히 맞서 싸우고 있다. 마찬가지로 국가 제도에서는 농민이라는 말을 지운 지 오래다. 신자유주의 시장경쟁체제로 농산물 시장을 개방한 이후 농사는 산업의 한 분야로 재편되고, 농산업에 종사하며 농산품을 생산하는 농업인으로 규정되었다. 역사문화를 일구어온 백성이라는 역사성, 자연과 사회에 다양한 공익 역할을 하는 사회주체라는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는 용어가 농업인이다. 농민이란 말이 바로서야 농업과 농촌이 산다.

말글을 바로 세워야 나라가 제대로 선다. 초라한 한글날 국가행사를 바라보며 몸과 마음이 제대로 서는 말글을 생각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8,022,000
    • +7.02%
    • 이더리움
    • 4,614,000
    • +4.15%
    • 비트코인 캐시
    • 611,500
    • -1.13%
    • 리플
    • 825
    • -1.55%
    • 솔라나
    • 305,300
    • +4.34%
    • 에이다
    • 831
    • -3.26%
    • 이오스
    • 784
    • -5.88%
    • 트론
    • 232
    • +1.31%
    • 스텔라루멘
    • 156
    • +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050
    • +0.12%
    • 체인링크
    • 20,380
    • +0.25%
    • 샌드박스
    • 413
    • +0.7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