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80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조성을 추진 중인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올해 안에 완전체의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앞서 문을 연 전북 김제와 경북 상주에 이어 전남 고흥과 경남 밀양도 완공을 코앞에 두고 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우리 농업의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 농업과 농촌은 농업의 비중 축소, 인구 유출,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생산성 둔화 문제에 직면해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농림어업의 비중은 1980년 16%에서 2019년 1.8%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같은 기간 1080만 명이던 농가 인구는 2019년 224만 명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농가경영주 가운데 65세 이상 비율은 62%인데 비해 40세 미만 비율은 0.7%에 불과하다. 결국 농업과 농촌의 미래는 청년농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첨단 설비와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팜이 활성화하면서 청년들의 관심과 접근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 스마트팜은 온실 축사 등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시설 장비로 생산물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농장이다. 고령화에 따른 농촌 일손 부족을 메우고 농촌을 젊게 만드는데 이 스마트팜의 역할이 매우 커지고 있다.
게다가 기술 수준도 꾸준히 높아져 1세대 스마트팜의 주된 기능이 자동화와 ICT 기술 조합을 통한 비닐하우스와 과수원의 원격관리였다면, 현재는 실시간으로 수집한 농작물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시스템이 작물 생장 환경을 분석하고 처방하는 농작물 생산 최적화 시스템 구축 단계까지 발전했다.
정부는 스마트팜 활성화를 위해 2018년 혁신밸리 조성 계획을 세웠다. 전국 4곳에 거점을 두고 예비 청년농 교육, 임대형 스마트팜 지원, 스마트팜 기술 연구 및 실증 지원 등의 역할에 매진하게 한다는 방침이다.
총 사업비 4100억 원 규모의 혁신밸리 조성은 한국농어촌공사가 맡았다. 지난해 1차 지구인 전북 김제와 경북 상주가 준공했고, 2차 지구인 경남 밀양과 전남 고흥도 2019년 3월 사업 선정 이후 2020년 9월에 착공했고, 2년간의 조성 공사 끝에 올해 12월 준공할 예정이다.
지역별로 전북 김제는 21㏊의 면적에 보육센터 온실 2.3㏊, 임대형 스마트팜 4.5㏊, 실증단지 온실 1.6㏊가 들어섰다. 면적이 가장 큰 경북은 43㏊ 규모로 1275억 원의 사업비가 들어갔다. 올해 들어서는 전남 고흥은 34㏊, 경남 밀양은 22㏊의 규모다. 4곳의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모두 완공되면 총 면적이 122㏊에 달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핵심기능으로는 △예비 청년농 스마트팜 교육 △청년농 대상 임대형 스마트팜 지원 △스마트팜 기술의 연구·실증 지원 등이 있다. 주요시설에는 청년보육센터, 임대형스마트팜, 실증온실 및 지원센터가 있으며, 특히 청년보육센터는 스마트팜 창업 및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경영형 실습 교육을 제공하며 청년농의 스마트팜 산업 진입과 적응에 도움을 주고 있다.
기존 스마트팜 연구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한편 청년농을 위한 스마트팜 활성화가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병호 농어촌공사 사장은 "스마트팜이 보편화되면 새로운 기술에 잘 적응하는 젊은 농업인들의 농촌 유입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스마트팜 확산을 통해 고령화와 공동화로 소멸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는 농촌지역에 활력이 깃들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농어촌공사는 농업의 4차 산업화를 비롯해 농업혁신 사업에 무게를 두고 있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스마트팜 온실 신·개축사업, 스마트 원예단지 등을 구축해 농업인의 다양한 수요에 부합하는 안전한 농산물 생산·공급 기반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며 "특히 국정과제 주요 내용인 스마트팜 조성을 통해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