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리역은 1940년 4월 1일 중앙선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 같은 해 보통역으로 승격하여 중앙선 화물과 승객의 수송을 도와온 역이다. 옛 탑리역의 모습은 다른 시골 역사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목조건물에 기와가 올라간 삼각박공지붕이었다. 철도산업 개량화 사업의 일환으로 1997년 12월 31일 새롭게 준공된 현재의 역사는 매우 다른 모습이다. 마치 역사 전체가 하나의 성과 같이 보인다. ‘금성산성’이라고도 불리는 금학산 고성을 모티브로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금학산 고성은 신라시대 문무왕 13년에 부족 소국들과의 싸움을 막기 위해 돌로 축조한 성으로 둘레 9100척, 높이 13척으로 아주 높고 험하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가깝게는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사명대사(유정)가 왜군과 격전을 벌인 장소이기도 하다. 금성산은 높이 531m의 금학산, 또는 가마산으로도 불리는 산으로 한반도 최초의 화산이다. 백악기에 화산이 폭발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화산으로 화산 폭발의 흔적인 정상 평지는 천하제일의 명당으로, 이곳에 조상묘를 쓰면 당대의 만석꾼이 되지만 주변 지역은 3년간 가뭄이 든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탑리 지명은 ‘탑이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통일신라시대 조성된 국보 제77호 의성 탑리 오층석탑에서 유래하였다. 통일신라 시기 전탑 양식과 목탑 건축 수법을 동시에 반영한 불탑으로 세부 석제가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어 우리나라 석탑의 양식 발달을 살피는 데 귀중한 자료로 꼽힌다. 오층석탑은 과거 바로 앞에 면사무소가 자리했을 만큼 지역의 중심이었다. 현재에는 역에서 약 1㎞ 정도 떨어진 중앙선 철로 변 언덕에 위치, 신라시대부터 오늘까지 탑리리 지역의 수호신으로 함께하고 있다.
자료=국가철도공단 ‘한국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