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의 다급한 목소리가 응급실을 긴장감으로 채운다. 시끄러운 발소리, 삑삑거리는 기계음, 그리고 재빠른 의료진의 동작이 이어진다. 눈에 익은 70대 할아버지였다. 담도암으로 치료받던 환자였는데 갑자기 심정지가 온 것이다. 다행히 심폐소생술을 진행한 지 10분 만에 호흡과 맥박이 돌아왔고 의식도 회복했다. “휴!” 하고 한시름 놓는 순간, 구급차의 요란한 사이렌 소리가 들리더니 응급실 문이 열렸다. 구조사분들이 데려온 환자는 갓 스물이 된 대학생. 바닷가로 MT를 와 수영하던 중 파도에 휩쓸렸고 구조 당시엔 이미 심장박동이 멎은 지 한참 후였다. 어찌 손쓸 틈도 없이 안타깝게 사망한 것이다. 시신를 수습하는데 커튼 옆에서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심폐소생술로 회복된 할아버지였다.
“도대체 누가 또 날 살렸어. 누가?”
그분은 원망을 쏟아내고 있었다. 기억해보니 진료할 때면 “하나님께선 왜 나 같은 목숨을 아직 끈질기게 살려두시는지 몰라”라며 힘들고 고통스러운 처지를 한탄하곤 했었다. 얇은 커튼 한 장 사이로 얄궂은 운명의 뒤바뀜이 일어난 것이다. 죽음을 애통하고 슬퍼하는 젊은 대학생 가족들의 울음소리, 그리고 자신이 다시 살아난 데 대한 원망의 한이 섞인 울음소리.
의사로서 생사의 경계에 설 때면 신의 뜻을 이해하기 힘들 때가 있다. 물론 누군가의 삶의 가치를 저울질할 수는 없지만, 안타까운 죽음과 또 애처로운 삶 앞에서 차라리 운명이 뒤바뀌었더라면 하는 인간적인 감정을 숨길 수는 없는 노릇이다.
얼마의 시간이 흘렀을까. 꼬마 아이가 응급실로 뛰어 들어왔다. 할아버지의 품에 안긴 아이와 꺼이꺼이 울던 그분의 얼굴에는 미소가 번진다. 그 후 멋쩍은 표정으로 살려줘서 고맙다고 인사하는 할아버지. 목소리에 힘이 느껴진다. 고통 속에서도 연명치료 거부 동의서를 작성하지 않고 그분이 생(生)을 다시 이어가는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생사의 경계 앞에 섰을 때, 비록 의사라 할지라도 누군가의 삶의 가치를 평가할 수는 없다. 선택할 수도 없다. 단지 그 생이 이어지는 동안 환자분들의 고통을 이해하고 조금이라도 무게를 덜어주는 것이, 신이 내게 허락하신 사명일 것이다.
죽음이 거쳐 간 응급실 침대 위엔 다시 새하얀 침대보가 깔렸다. 또 다른 누군가는 그 위에서 우릴 간절히 부를 것이고, 어떤 이는 치료의 손길을 강력히 외면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선택은 우리의 몫은 아니란 것이다. 오직 내 몸이 허락하는 한 그들의 삶을 세상 쪽으로 조금이라도 더 끌어와야 할 뿐, 비록 그것이 신조차 의도하지 않은 일일지라도.박관석 보령 신제일병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