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핵심 투자 트랜드가 된 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ESG)에 대해 평가기관에 따라 점수가 상이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김형석 한국ESG기준원 정책연구본부장은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서 “ESG를 평가하고 투자자문 서비스를 제공에 대해 이해 상충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평가 대상 기업에 평가기관들이 다른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해 상충이 발생하고 평가의 독립성이 훼손된다는 뜻에서다.
김 본부장은 평가기관 간 특정 기업에 대해 평가가 불일치한다고도 지적했다. 그는 “국내 상장기업에 대해 불일치 문제는 결코 적은 수치가 아니다”라며 “3년간 국내 상장기업에 대해 한국ESG기준원과 MSCI를 비교했을 때도 두 기관 간 차이가 난다”고 했다.
차이에 이유에 대해서는 정보 해석의 차이를 꼽았다. 김 본부장은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평가기관 간 정보의 차이가 아니라 해석의 차이 때문에 불일치가 벌어진다”며 “ESG 공시 제도가 강화된다고 해도 해석의 차이는 좁혀지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이종섭 서울대학교 교수는 불일치 이유에 대해 상대 평가를 원인으로 꼽았다. 이 교수는 “신용 평가는 절대적 기준이 있어 평가기관 간 불일치가 크지 않은데 ESG 평가는 피어 그룹 내에서 상대 평가 성격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윤태일 KB자산운용 ESG&지원본부장은 “평가기관 간 불일치 문제로 ESG 워싱이 초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윤 본부장은 “현재는 ESG에 대한 세부 정보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라며 “(평가기관이) 등급을 산출하는 과정을 공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기관 투자자는 고유 반영 비율을 산출하는 등 프로세스 고도화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원일 한국거래소 ESG지원부장은 “(거래소는) ESG 정보공개 가이던스를 대폭 확대 개편할 계획”이라며 “기업이 지속가능보고서를 작성할 때 매뉴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라고 했다. 이어 “기업이 지속가능보고서를 작성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공시 표준 권고안을 만들 생각”이라며 “ISSB, ESRS 등 해외 글로벌 표준의 공통사항을 뽑아내 현행 ISSB 제도보다는 간소화된 내용이 담길 것”이라고 했다.
김광일 금융위원회 공정시장과장은 “ESG 공시는 기업의 ESG 활동을 어떻게 정확하게 측정해서 투자자들에게 전달할 거냐는 문제”라며 “공시 기준이 글로벌하게 일관되지 않다 보니 기업은 공시 부담을 느끼고 투자자 입장에선 기업 비교성이 떨어지는 게 현실”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