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이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정례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리를 0.25%포인트(p)씩 점진적으로 인상하겠다는 포워드가이던스(사전 예고 지침)가 아직 유효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금통위는 이날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기존 연 2.25%에서 2.5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 총재는 인상 배경에 대해 “현 경제 상황이 지난 7월 예상했던 국내 물가, 성장 흐름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만큼 지난달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제시했던 바와 같이 0.25%p의 점진적 인상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또 “5∼6%대의 높은 소비자 물가 오름세가 내년 초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라며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 억제와 고물가 고착 방지를 위해서는 지속적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물가 정점의 경우 지난달 예상했던 ‘3분기 말∼4분기 초’보다 앞당겨질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 총재는 “지난 2개월여간 국제 유가가 큰 폭 하락해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7월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점은 7월 전망보다 당겨질 수 있겠지만,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물가 정점을 지난 후 (흐름이) 안정될 것으로 보는 것은 곤란하다”라고 덧붙였다.
7월 단행했던 ‘빅스텝(한번에 기준금리 0.50%p 인상)’을 다시 꺼내 들 가능성에 대해선 “충격이 오면 원칙적으로 고려할 수 있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고려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연말 기준금리를 2.75∼3.00% 수준으로 보는 시장의 기대에 대해서는 “합리적”이라고 평가했다.
경기 침체와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 가능성에 대해 “우리 경제가 전망대로 내년 2.1% 성장하면 잠재성장률을 웃돌기 때문에 경기침체,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볼 수 없다”며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도 선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금리 인상 결정에서 환율 변동성을 고려했느냐는 질문에 “한은의 금리 정책은 환율 수준을 타깃팅(목표)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도 “기준금리 인상이 원·달러 환율 상승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2009년 이후 최고 수준인 1346원까지 뛰었다. 이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 압력도 커졌다.
이 총재는 “한은이 환율 상승 국면을 왜 우려하는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며 “환율 수준 자체보다는 그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물가 상승 압력과 중간재를 수입하는 기업들의 고충이 심해져서 국가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 등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환율 상승이 마치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유동성·신용도 문제가 있기 때문이고, 그래서 1997년이나 2008년처럼 외환위기 사태가 반복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 같은데 예전과는 다르다“고 강조다. 미국 달러 강세로 다른 국가들의 통화가치가 상대적으로 하락했기 때문이지, 우리나라의 외화 유동성이나 신용도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라는 설명이다.
이 총재는 “국제통화기금(IMF) 유동성 기준 150%와 비교해 외화보유고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던데, 제가 IMF에서 왔다”라며 “한국의 외화보유고는 세계 9위이고, 외환 보유가 큰 나라에 그런 기준은 큰 의미가 없다”라고도 말했다.
앞서 현대경제연구원은 IMF가 권고하는 적정 외환보유고 최대치(기준치의 150%)는 6455억5000만 달러로 현재 외환보유고 수준은 적정 외환보유고 최대치에 비해 2072억7000만 달러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한미 통화스와프에 대해서 “상시로 (미국과) 통화스와프를 하는 영국, 유로존, 캐나다 모두 달러 강세로 전부 통화가치가 약세”라며 “통화스와프는 유동성·신용도 위험에 대한 대비가 될 수는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달러 대비) 통화가치가 떨어지는 지금 같은 상황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해”라고 설명했다.
기준금리를 ‘중립금리’ 이상으로 올릴 가능성도 열어놨다. 이 총재는 “지난번 금리가 2.25% 였을때 중립금리 하단으로 갔다고 했고, 지금은 중간 정도”라며 "물가가 5.0% 이상 높은 수준이 유지된다면 금리를 중립금리 상단까지 올리면서 물가 오름세를 꺾을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중립금리는 경기를 과열 또는 위축시키지 않는 적정 수준의 금리를 뜻한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생각하는 중립금리를 2.25~3.0%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