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산대교에서 발견된 바닥 판 균열이 시공 과정에서 문제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지만, 안전성과 내구성에는 이상이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성산대교 안전성 검증 합동조사단’은 24일 서울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시는 성산대교 성능개선공사 과정에서 교체한 남·북단 접속교의 새 바닥 판에서 균열이 발견되자 외부 전문가 6명으로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올해 4∼6월 정밀 조사를 벌였다.
조사 결과 표면에 드러난 균열은 0.4∼0.6㎜였으나 실제 균열 폭은 0.2㎜ 이하로, 국가건설기준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허용 균열폭 0.3㎜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단은 균열이 가장 심한 남·북단 구간을 선정해 바닥 판 하부 균열부에 0.001㎜ 단위로 측정 가능한 정밀계측기를 설치하고, 균열부에 색상 있는 에폭시(열경화성 플라스틱 재료)를 주입해 시료를 채취하는 방식으로 균열폭을 정밀 측정했다.
또한 도로 통행이 허용되는 최대 하중인 총중량 40t의 덤프트럭 2대를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교량이 무게나 힘을 견디는 정도를 조사하는 재하시험도 벌였다. 시험 결과 최대 통행 하중의 트럭이 지나가도 안전성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조사단은 전했다.
조사단은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성과 내구성에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시공 과정에는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균열이 간 바닥 판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부어 만드는 기존 방식이 아닌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설치됐다. 프리캐스트 공법은 공장에서 제작된 콘크리트 바닥 판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기존 콘크리트 타설 방식보다 공사 기간이 짧다.
해당 균열은 공사 중 통행차선 확보를 위해 임시로 설치된 대형 바닥 판 위에서 대형크레인이 새로 설치할 바닥 판을 옮기다 하중이 가중돼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임시로 설치된 바닥 판에서 작업을 하다 보니 불규칙한 들뜸이 발생해 균열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조사단 위원장인 김상효 연세대 명예교수는 “(임시 설치가 아닌) 교체가 완료된 바닥 판 위에서 크레인이 작업한 구간은 균열이 전혀 안 생겼다”며 “정상적 시공을 했으면 없었을 균열이 생긴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서울시는 2018년 1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성산대교 성능 개선 공사를 진행했지만, 공사가 끝난 지 1년도 채 안 돼 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안전성 검사에 돌입했다.
성산대교는 서울 마포구 망원동과 영등포구 양평동을 잇는 길이 1410m, 폭 27m의 다리로 1980년 준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