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ㆍ달러 환율이 22일 장중 1340원 선을 넘으면서 한국 경제에 한파가 불어닥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점증하고 있다.
원ㆍ달러 환율은 수입물가에 직접적인 상승 압력을 미치지만 예전과 같이 원화가치 약세가 수출 증대에 직접적으로 큰 도움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서다.
지난달 계약통화기준으로 수입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4.5% 오른 반면 수출물가는 3.6% 상승하는데 그쳤다. 지난달 기준 수입물가지수는 원화 기준으로 1년 전보다 27.9% 오른 점을 보면 원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한 셈이다.
경상수지가 적자로 돌아설 가능성은 낮지만 무역수지 적자 폭이 커지면 그만큼 달러 유입 속도가 느리어져 다시 원화가치 약세로 이어지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12일 발표한 ‘2022년 7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7월 수입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7.9% 급등했다.
이마저도 전월보다는 0.9% 떨어진 것인데 원화가치가 지속적으로 약세를 이어가면 이마저도 상승 반전할 가능성이 있다. 광산품과 석탄, 석유 제품 등의 가격이 내려도 원화가치가 떨어지면 가격 하락분을 상쇄해서다.
원ㆍ달러 환율 상승으로 수입물가가 인상되면 이는 제품 가격을 밀어 올려 전반적인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소비는 쪼그라들 수밖에 없는 셈이다.
한은에 따르면 7월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ㆍ2015년 100)는 153.49로 전월 대비 0.9% 하락하는 데 성공했다. 국제유가 하락이 가장 큰 원인인데 원화가치 추가하락이 이어지면 추세상 우하향 곡선을 기대하기 힘들어진다.
결국, 이는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줘 소비 위축으로 이어진다.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수정 경제전망도 내놓는데,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현재 4.5%에서 5%대로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올해 5%대 상승률이 현실로 나타나면, 1998년(7.5%) 이후 24년 만에 최고 기록이다.
한국경제연구원도 이날 내수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가 올해 3.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 민간소비 성장률 3.6%보다 0.4%포인트(p) 낮은 수치다.
방역 조치 완화 등으로 회복세를 보이던 민간소비는 물가 급등, 경기둔화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소비심리가 약화해 다시 위축될 것으로 한경연은 내다봤다.
특히 급격한 물가인상으로 인해 실질소비 여력이 위축된 것도 소비 회복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한편 원ㆍ달러 환율 추세적 하락 반전의 기회를 찾기도 쉽지 않다.
이날 오후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사실상 기준금리인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3.70%에서 3.65%로 0.05%포인트(p) 인하하며 위안화가 약세를 보이자, 원ㆍ달러 환율은 추가 상승 압력을 받았다.
주식시장이 하락 기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외국인들이 탈한국 조짐을 보이는 점도 불안요인이다.
원ㆍ달러 환율의 폭주를 유발했던 미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축 기조 역시 큰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글로벌 달러 강세에다가 아침에 중국이 금리인하를 하면서 아시아 통화들이 영향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만 이런 건 아니고 비슷비슷하다. 부총리가 종종 얘기하는 것처럼 쏠림이 나타나면 시장안정조치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번 주에 잭슨홀 미팅하니까 여기서 매파적으로 얘기하면 더 달러강세가 갈 수도 있다"며 "환율 전망은 전문가마다 다르다"고 설명했다. "결국 미국 통화정책이 어떻게 가느냐에 따라 다를 것이며 유럽과 중국 경기도 주요 변수"라고 말했다.